콘텐츠 바로가기

센터사업

제주학연구센터는 제주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지속적으로 기록합니다.

제주학 연구의 의미를 되새기는 바람 기원, <제주바투리 8호> 발간

  • 2024-01-16
  • 조회 34
첨부파일
제주바투리8호 발간 보도자료.hwp 제주바투리 8호_표지(배포용).pdf 제주바투리8호_목차(배포용).pdf

제주학 연구의 의미를 되새기는 바람 기원

제주학연구센터, <제주바투리> 8호 발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순자)는 최근 기관지 제주바투리8호를 발간했다.

 

이번 호 <표지>는 채기선 작가의 그림 한라산으로, 은하수 별빛을 품은 신비롭고 숭고한 자태의 한라산 백록담을 통해 제주의 숨겨진 가치를 찾는 제주학 연구의 의미를 되새겼다. 또한 <열린 창>에서는 여자 상제들이 참베 한 필로 만든 너울을 머리에 쓴 1960년대 제주 모습을 담은 이월성씨의 소장 사진 너울 쓴 여자 상제들을 담아 사라져가는 제주의 역사·문화와 제주 사람들의 생활상을 기억하고 기록하고자 했다.

 

김순자 제주학연구센터장은 <발행인의 글>을 통해 센터가 지나온 한 해 추진한 제주 입도조 실태조사, 제주갈옷 조사연구사업, 제주 해녀문화대백과사전 편찬 등 굵직한 사업들을 소개하고 도민들이 제주학대회와 제주어 포럼, 제주고전강독회, 공개강좌 등 센터가 마련한 행사에 관심과 성원을 보내준 데 감사의 뜻을 전했다.

 

김형훈 제주언론학회장은 <제주학연구센터에 바란다>에서 제주학이 섬에 갇힌 연구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외부의 입장으로도 들여다보며 타 지역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더욱 탄탄해질 수 있고, 언론인 대상 제주학 연구과정 개설 등 언론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도 제언했다. 또한 <제주학 연구 기관단체 탐방>에서는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김나영 학예연구사가 근 40년간 제주를 대표하는 도립박물관으로서 민속자연사박물관의 태동부터 현재, 그리고 또 다른 미래를 위한 제주역사·문화특화지구 조성 목표를 소개했다.

 

이번 호의 <특집1>로는 제주의 기억과 기록, 그리고 아카이브를 주제로 지난 920일 개최한 7회 제주학대회 학술대회’(오유정,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의 주요 내용과 제주학 아카이브 구축방향 논의를 소개한데 이어 제주학대회 세 번째 행사로 마련된 제주학 역사 탐방’(임승희,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원)으로 제주에 들어온 입도조와 역사인물을 비문(碑文)으로 탐방한 과정을 담았다.

 

<특집2>는 제주어사전 연구 성과와 제주어대사전 편찬 사업 등을 담은 ‘2023 제주어 포럼 눌, 사전(辭典), 익어가다’(권미소,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원), 제주어 시원에 대한 관점을 확장하고 문학어 활용 확대 방안을 제언한 ‘AI 시대의 제주어 연구 확장과 보전’(이상규, 전 국립국어원장)을 담았다. 또 제주어 연구와 교육, 활용의 발판이 될 제주어박물관 설립 필요성을 피력한 제주어박물관이 건립될 수밖에 없는 이유’(김미진,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 제주 자연생태와 제주어의 지속 전승에 대한 바람을 담은 제주에서 찾는 아름다움이란’(김완병,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사)을 소개했다.

 

<제주학산책>에서는 김우리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원이 애월읍 수산리 밀양박씨 문중 소장 문서를 정리한 고문서에 담긴 우리 마을 이야기-수산리’, 김순자 제주학연구센터장이 소중한 미래 무형유산인 제주갈옷의 가치를 소개한 제주를 제주답게, 제주 갈옷 이야기’, 또 다른 제주의 유·무형 유산인 이어도 문화를 일깨우는 양금희 시인의 제주인과 이어도 문화를 실었다.

 

아울러 제주학연구센터 2023년도 하반기 사업 현황과 2024년 주요사업 일정, 제주학계의 2023년 하반기 동향도 소개했다.

 

한편, 제주학의 발전과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제주학연구센터는 제주학 관련 정보를 도민들과 나누고, 제주학 연구자 간의 소통을 강화하고자 반년간으로 제주바투리를 발간하고 있다. ‘바투리바탕, 근원등을 의미하는 제주어로서, 제주바투리라는 제호는 제주 사람들의 삶의 바탕인 제주의 인문사회자연의 근원을 탐구하고자 하는 제주학연구센터의 의지를 담고 있다.

 

○ 《제주바투리8호는 제주학연구센터 누리집(http://www.jst.re.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