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역사

19486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2446 고문헌 제주(濟州)에서 공상(貢上)한 말 288필을 나누어 주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3
2445 고문헌 부장 박중환(朴重煥)에게 역마(驛馬)를 주어 내려보내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2
2444 고문헌 유구(琉球)에서 표류해 온 사람들을 육로(陸路)로 가는 사신 편에 보내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0
2443 고문헌 전라 수사(全羅水使) 조명집(曺命楫)을 잉임(仍任)하고 제주 목사(濟州牧使)는 특별히 가려 차임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0
2442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와 동래 부사(東萊府使)를 의논하여 천거할 때 천거하지 않은 비변사 당상 김지묵(金持默) 등을 추고하고, 죄를 짓고 유배된 사람을 뒤섞어 동래 부사의 후보로 천거한 비변사 당상 정창순(鄭昌順) 등을 엄하게 추고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3
2441 고문헌 성정각에서 영중추부사 채제공(蔡濟恭), 우의정 이병모(李秉模), 유사 당상 심이지(沈頤之)ㆍ윤행임(尹行恁),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우현(李禹鉉)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1
2440 고문헌 《어정인서록》을 서울과 지방의 각처 및 교열한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5
2439 고문헌 강제 문신(講製文臣) 정취선(鄭取善)을 금오(金吾)의 부내(府內)에 보수(保囚)하고 삼동(三冬)까지 사서삼경 가운데 한 가지 경전씩 강(講)할 수 있게 한 뒤에 잠시 풀어 주어 응시하게 하되, 만일 순통(純通)을 맞지 못하거든 다시 가두어 순통을 맞기 전에는 풀어 주지 말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3
2438 고문헌 제주(濟州)의 한량(閑良) 고택신(高宅信)에게 초시(初試)의 첩문(帖文)을 만들어 주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3
2437 고문헌 검교직각 서영보(徐榮輔)에게 유시(諭示)하여 고달도(古達島)의 선소(船所)에서 제사를 지낸 뒤 제주(濟州)로 가는 배가 곡식을 싣고 출발하거든 돌아오는 길에 연읍(沿邑)을 자세히 살핀 다음 보고 들은 것을 조정에 돌아온 후 일일이 보고하게 하고, 이어 삼남(三南)에 은택을 베풀라는 내용으로 어제 내린 전교는 가는 곳마다 효유(曉諭)하고 만일 시행했어야 하는데 아직 시행하지 못한 일 가운데 조정에 돌아올 때까지 지체하기 어려운 것이 있으면 의견을 붙이고 사리에 맞게 논하여 속히 보고하라고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1
2436 고문헌 전라 감사 이서구(李書九)가 표류해 온 유구국(琉球國) 사람에 대해 문정(問情)하여 급히 장계하였기에 통사(通事) 이익청(李益靑)에게 별도로 시상하라고 명하고, 이어 제주목(濟州牧)에 별도로 요과(料窠)를 두어 유구어(琉球語)를 익히게 하고 사역원(司譯院)에서 총민(聰敏)인 자를 따로 정하여 연경(燕京)에 가서 학습하게 하라고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7
2435 고문헌 승지 김계락(金啓洛)은 제주(濟州)의 장계를 가지고 온 사람을 돈화문(敦化門) 밖으로 불러서 만나 보고 유의(襦衣)와 쌀말을 나누어 지급하고, 감제(柑製)를 설행할 때 황감(黃柑) 대신 대구어를 나누어 주겠다는 것을 미리 성균관에 알리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