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시 월평동 본향 다락쿳당

분야별정보 > 종교 > 무속



 제주도 기자(祈子)산육 신앙

제주도 기자산육 신앙은 삼승할망(생불할망, 불도할망)과 서천꽃밭, 혹은 돼지고기 금기를 어겨 부신(夫神)과 별거한 일뤳당신들의 내력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제주도 기자산육 신앙은 일반신 신앙, 당신앙, 조상신 신앙뿐 아니라 돌 신앙, 미륵 신앙, 기타 민속 신앙들이 얽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제주도 당신앙에서 산육을 관장하는 직능을 지닌 신은 일뤳당신(일뤠할망, 일뤠또, 일뤠중저, 서당국서, 서당할망, 서물한집, 허물할망 등으로 불림.)이다. ‘일뤠는 당의 제일이 매 7(초일뤠[7], 열일뤠[17], 스무일뤠[27])이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일뤳당신은 아이가 15세가 될 때까지 보살펴주는 여신(女神)이다. 동시에 피부병, 안질(眼疾), 복통, 경증, 경세 등에 효험이 있는 치병신으로 관념된다.

 

월평 다라쿳당

월평 다락쿳당에 좌정한 신은 산신벡관 산신대왕, 은기선승 놋기선승, 아기또(혹은 보제또)라 한다. 산신벡관 산신대왕과 은기선승 놋기선승은 부부 간으로 산신벡관 산신대왕이 부신(夫神), 은기선승 놋기선승이 처신(妻神)이다. 아기 또는 피부병에 효험이 있는 허물할망이다. 제일은 114일과 714일로 신과세제, 마불림제를 받는 당이다.

특히 은기선승 놋기선승은 아이의 버릇을 고치는 데 효험이 있다고 한다. 이 당에서 벌이는 귀신방쉬는 은기선승 놋기선승의 신력(神力)과 직능을 짐작할 수 있는 의례이다. ‘귀신방쉬는 행동거지에 조심성이 없어 그릇을 매번 깨는 아이의 습성을 고치는 주술 행위이자, 아이의 치병을 위한 행위라 한다.

본풀이에 따르면 은기선승 놋기선승의 아름다움에 반한 산신벡관 산신대왕이 청혼으로 둘은 부부의 연을 맺게 된다. 하지만 미식(米食)을 하는 처신의 눈치를 보느라 술도 장군, 밥도 장군, 괴기()도 장군으로 먹어 왔던산신대왕은 자신의 식성을 숨긴 채 지내야 했고, 그 결과 하루가 다르게 여위여 갔다. 남편이 겪는 어려움이 육식을 하지 못하기 때문임을 알게된 은기선승 놋기선승은 부정하다며 산신벡관 산신대왕에게 ᄇᆞ름알로 좌정할 것을 권한다. 처신이 돼지고기 부정을 저질러 부신에게 내쫓김 당하는 보편적인 설정과는 정반대 된 내력이다.

당의 내력과 관련하여 심방들이 전승하는 본풀이와 다른 서사의 설화가 전하기도 한다. 350년 전 한 여성이 월평에서 남편을 여의고 세 살 된 아들만을 데려 어렵게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는데, 이를 딱히 여긴 스님 하나가 다락쿳을 알려주며 집안 자손이 잘 될 곳이라 하였다는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여성은 곧 다락쿳으로 이주하여 살림살이를 꾸렸고, 팽나무를 심어 신당을 마련하여 자손과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던 것이 점차 확산되어 지금의 다락쿳 마을의 당신앙으로 자리잡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특히 이 당은 부스럼증이나 신병(身病) 등을 기원하면 효험이 있었다고 한다.

 

- 출전: 이현정(제주대 강사) 선생님의 <제4회 제주학대회 탐방 행사 자료집>

유형
사진
학문분야
종교 > 무속
생산연도
2020
저자명
제주학연구센터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25
첨부파일
IMG_4588.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