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제4호 갓일 총모자장 강순자 시연 및 전시: 총모자골에 제작 중인 총모자와 도구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민속



2020 국가무형문화재 제4호 갓일 총모자장 강순자 시연 및 전시

제주시무형문화재전수관

1964년 12월 24일 지정

 

갓일은 갓을 만드는 기능이다갓은 조선시대 성인남자들이 외출할 때 갖추어야 할 관모(冠帽중 하나로 주로 양반들의 사회적 신분을 반영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갓을 만드는 과정은 크게 양태(갓의 테)’일 총모자(모자)’ 양태와 총모자를 거두어 맞추는 입자일로 나뉜다.

 

양태는 대나무를 머리카락처럼 가늘게 나누어 둥근판 위에서 한 올 한 올 엮은 것이고총모자는 말총을 원통형 골위에 대고 엮은 것이다.

양태와 총모자가 만들어지면 이것들을 한데 모아 갓을 만든다명주실을 입히고 먹칠과 옻칠을 해 갓끈까지 달면 완성이다. 

 

일골(총모자골)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전체적인 형태는 아래가 넓고 위는 사다리꼴처럼 줄어드는 변형 원통의 모양이다. 뒤집어 보면 윗면쪽은 막혀 있지만 바닥쪽은 바깥부분의 2cm, 안쪽으로 7.2cm정도 깊이의 둥근 홈이 패어 있다. 이렇게 패인 곳은 주개판 위에 올려 놓고 대우를 엮어가는 작업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일골의 표면에는 어교가 묻어 있는데 말총으로 연결하여 모자의 시작 부분에 해당되는 생이방석을 만든 다음 결어갈 때 불에 녹여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골걸이(주개판)

총모자를 결을 때 주개판 위에 일골을 돌려가면서 짤 수 있도록 만들어져서 판의 꼭대기는 둥글게 굴려져 있다. 주개판 위에 일골을 걸었을 때, 일골 안쪽에 패인 홈이 주개판 위에서 빙 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자 사이의 빈 공간에는 헌 헝겊을 넣어 메우는 역할을 한다. 

총바늘

일골 위의 말총을 한 코씩 잡아채서 새뜨기를 할 때 사용한다.​

유형
사진
학문분야
사회과학 > 민속
생산연도
2020
저자명
제주학연구센터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22
첨부파일
IMG_4738.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