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학연구 5│해역세계 시좌의 제주학 방법론 연구

분야별정보 > 총류 > 제주학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a. 그동안 제주연구는 ‟국가스케일 중심적 시각에서 진행된 것이 주류임. b. 국가적, 지역적 시각이 육역 중심이라면 ‟해역세계는 또 다른 인식 지도를 가능하게 함 c. 제주를 지역적, 세계적 시좌로 인식하는 일은 내륙의 시점이 아니라 해역세계의 시좌로 제주를 이해하는 방법적 전환이 있어야 함. d. 제주연구는 새로운 방법을 통하여 제주의 새로운 위상학을 정립하는 작업이 되어야 함. e. 제주의 관점에서 제주를 인식하고 세계적 전망을 세우는 ‟방법으로서 의 제주학나아가서는 ‟제주해학(濟州海學)이 필요함 2. 연구의 방법과 목적 a. 방법으로서의 제주학이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제주학을 모색하고자 함. b. 본 연구의 핵심과제는 해역세계 시좌의 제주학 정립임. c. 21세기 초국적(trans-national) 시대를 맞아 해역세계 시좌의 제주학이 가지는 의의는 큼. 이를 통해 분쟁과 고난의 섬에서 평화와 희망의 섬으로 가는 길이 열릴 것임. 3. 제주학의 연구 동향과 지역학 가. 제주학의 연구 동향 a. 제주학의 방법적 모색이 진행된 것은 1990년대 후반임. 이 시기 ‟국제화라는 명분 아래 국가에 의하여 지역학이 권장됨. b. 그동안 제주학 연구의 동향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흐름을 보임. 분과학과 자료학→통합과학, 학제적 연구→ 로컬에 대한 새로운 방법적 인식 c. 선행연구들이 지닌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좌에서 해석을 가하고 방법론을 정립해야 함. 나. 지역학으로서의 제주학 a. 지역학으로서 제주학은 지방적인(local) 것을 대상으로 함. b. 제주학은 지역학의 한 양상이지만, 기왕의 지역학에서 지역을 취급 하는 국지적이고 부분적인 논의를 넘어서야 할 단계에 와 있음. c. 제주를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설명은 제주의 역사적 경험들을 해석 하면서 제주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할 수 있는 방식을 만드는 일과 다르지 않음.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총류 > 제주학
생산연도
2013
저자명
구모룡
소장처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40
첨부파일
해역세계 시좌의 제주학 방법론 연구.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