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에서 철학하기 試論 -로컬리티 담론과 제주학 연구 현황 검토를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철학 >



탐라문화 39호

 

오늘날 우리 학계에는 융복합과 로컬리티 담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담론들은 인간의 욕구와 현전성(現前性)을 긍정한다는 점에서 이상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융복합과 로컬리티의 이상이 실제로 구현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여전히 로컬과 글로벌, ‘학적 지식(episteme)’과 융복합 사이에서 상호조화를 이루는 대대적(對待的) 관계가 아닌 상호대립적 관계를 발견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탐라문화(耽羅文化)󰡕에 실린 기획특집논문들을 살펴보았는데, 로컬리티 담론의 핵심인 다원성과 자기중심성이라는 이중원리에 충실한 경향을 보인다. 그런데 지금까지 38호가 발행된 󰡔탐라문화󰡕에 게재된 국내철학전공자의 논문은 전체 게재물 379편 가운데 8편으로 2.11%에 불과하다. 사실, ‘제주도의 문화에 관한 연구’를 대상으로 한다하더라도, 제주의 특이성을 드러내는 데 주안점을 두거나 제주 출신 연구자들이 연구를 수행하여야 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한국이라는 큰 로컬을 대상으로 할 때보다 제주라는 작은 로컬을 대상으로 할 때, 결과적으로 한국이라는 로컬이 글로벌화할 수 있는 주요 주제가 일목요연하게 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제주와 제주인은 2000년이라는 시간과 앞으로 얼마 동안일지 모르는 시간 속의 한 좌표인 ‘지금’과 한반도 서남단의 도서라는 공간과 한․중․일 중앙부에 위치한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라는 공간 속의 한 좌표인 ‘여기’에 놓여 있다.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이 좌표는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라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중이지만, 언제나 ‘지금, 여기’인 좌표이기도 하다. 그래서 시공간의 경계를 기반으로 한 구체성도, 시공간의 경계를 무너뜨린 보편성도 모두 ‘지금 여기’에서 성취될 수 있고, 성취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엄밀한 반성과 구체적 실천이 곧 제주에서 철학하기의 목표이자, 글로컬(Glocal)의 이상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철학 >
생산연도
2011
저자명
김치완
소장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조회
111
첨부파일
06_김치완.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