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굿 음악에 나타난 제주도 음악어법의 정체성-칠머리당굿과 동김녕리 잠수굿을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종교 > 무속



이 논문의 목적은 제주도 굿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주도 음악어법의 정체성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제주도 굿과 관련된 선행연구물과 자료집, 그리고 칠머리당굿의 동영상 자료와 필자가 현지 조사에 참여한 동김녕리의 잠수굿 동영상 등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굿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박자구조는 불규칙박+불규칙박자, 3소박 자유박의 두 가지이다. 또 춤을 비롯한 나머지 부분에서 3소박 4박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한국 음악 전반에 나타나는 보편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2소박 4박은 3소박 4박을 빨리 연주하면서 생긴 박자이며, 2소박 12박은 3소박 4박을 느리게 연주하면서 나타나는 박자이니 결국은 3소박 4박 계열로 묶어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제주도에서는 악기를 ‘연물’이라 칭하고 장단 역시 ‘연물’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주도 굿의 장단은 ‘○○연물’과 같이 표현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셋째, 제주도 굿에 사용된 3소박 4박형 장단의 가사붙임을 살펴보았더니 타령형과 푸넘장구형, 굿거리형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타령은 경서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는 장단이며, 푸넘장구는 평안도 굿에서 사용되는 장단이다. 굿거리 역시 경기와 서울굿, 평안도 굿에서 사용되고 있는 장단이다. 그리고 4․4조(4․2조)와 3․3조 율격의 가사붙임새, 3음보와 4음보 등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가운데 3․3조는 주로 황해도 민요에서 출발한 율격이라 생각되며, 평안도에서는 이를 굿에서 사용하고 있어 그 친연성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본풀이연물과 음영형은 심방이 직접 악기를 연주하면서 독창하며, 주로 앉은반을 사용하므로 박자가 불규칙해질 수밖에 없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내륙의 굿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반면 소미가 반주하는 삼석연물은 장단이 규칙적으로 연주되며, 악기 연주로부터 자유로워진 심방은 다양한 의식적 행위와 춤 등의 신체적 표현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미의 반주 가운데 장귀나 울북 정도를 활용하는 반주는 대체로 삽입가요적 성격의 악곡들을 반주하고 있으며 악기 연주법도 달라져서 계열이 다른 악곡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 서우젯소리는 민요 계열 악곡이며, 군웅덕담은 창부타령 계열 악곡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제주도 굿의 악기인 울북, 설쇠, 대양, 장귀는 내륙의 북, 꽹과리, 징, 장구와 외형적으로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방법과 음색으로 연주된다. 때문에 제주도 굿만의 특별한 음색을 만들어내고 있다. 악기 편성이 타악기 위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등의 서도지역 굿 음악과 가장 유사한 특성을 보이지만 울북이 굿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사용된다는 점은 독특한 특징으로 생각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종교 > 무속
생산연도
2012
저자명
김혜정
소장처
KCI
조회
29
첨부파일
제주도 굿 음악에 나타난 제주도 음악어법의 정체성-칠머리당굿과 동김녕리 잠수굿을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