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KBS 제주큰굿 열다섯째 날 - 가수리뒤맞이 1

분야별정보 > 종교 > 무속



15. 열다섯째 날: 《가수리 · 뒤맞이》《요왕맞이》《추물공연》《요왕질치기》《영감놀이》 10월 27일 목요일(음력 10.1) 제주도에는 '당 오백 절 오백'이 있다고 한다. 그저 신당의 숫자나 절의 숫자나 비슷하다는 정도의 뜻이겠거니 생각했다. 하지만 제주도 신당 조사를 하면서, 그 숫자가 근거 없이 붙여진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라진 신당들의 수까지 고려한다면 실제로 제주도 내의 신당이 오백 개 정도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본다면 제주도의 신들을 얘기할 때 '일만 팔천 신'이라고 하는데, 이 또한 실제 신의 숫자에 근당하는 숫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큰굿에서는 청해야 할 신들의 수가 많기도 많지만, 혹시라도 빠진 신전님네가 있을까 염려하여 모든 것을 반복해서 행한다. 모든 신을 한꺼번에 칭해 들이는 종합 청신의례도 〈초감제〉, 〈초신맞이〉, 〈초상계〉로 며칠에 걸쳐서 기행하고, 개별 제의가 진행될 때마다 당클에 앉아 계신 신들을 다시 한 번 제장으로 모셔 들이는 〈초감제〉를 하는 것이다. 이는 신들을 보낼 때도 마찬가지다. 개별 제의가 끝날 때마다 신이 원래 좌정해 계시던 그곳으로 다시 돌아가시라고 고해야 하고, 굿의 마지막에 하는 종합 송신의례도 며칠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가수리〉와 〈뒤맞이〉는 모든 신들을 돌려보낸 후, 마지막으로 그 신들을 따라온 하위 잡신(下位雜神)들을 대접하여 보내는 굿이다. 원래는 굿이 끝나고 한 달 정도 뒤에 따로 하루를 잡아 하는 굿이다. 그런데 이번 굿에서는 본주의 사정과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이어서 했다. 열다섯째 난의 의례들은 이러한 종합송신의레의 일부라 할 수 있다. 〈요왕맞이〉는 일인반적으로 두 가지 성격을 가지고 있다. 영등굿에서 〈요왕맞이〉는 해녀들이 경작하는 바다밭의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큰굿에서의 〈요왕맞이〉는 집안에 바다에서 죽은 사람이 있을 경우에 행해진다. 그 과정은 일반적인 길치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낮 동안의 굿이 끝나고 저녁이 찾아왔다. 갈옷을 입고 얼굴에는 흰 천으로 만든 탈을 쓴 도깨비들이 횃불을 들고 마당 안으로 들어섰다. 걸쭉한 입담과 게걸스러운 식욕, 고기와 술을 좋아하고 여자를 좋아하는 도깨비 신들이 등장하자 마당이 시끌벅적하게 소란스러워졌다. 제주도의 도깨비신앙은 뱀신앙과 마찬가지로 이를 조상으로 모시고 신앙하는 경우, 결혼을 꺼릴 만큼 외경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해신당에서는 무역, 풍어의 신으로 선왕신 도깨비로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당에 가서 당제를 지내고 뱃전에서 〈연신맞이〉나 〈뱃고사〉를 지냄으로써 해상의 안전을 기원하기도 한다. 〈영감놀이〉의 도깨비는 무서운 신이라기보다는 해학적이고 귀여운 모습의 신이라 할 수 있다. 잘못했다가는 오뉴월에도 서리를 내릴 것 같은 처녀귀신의 원한과는 다른 개구쟁이의 모습이다. 먹고 싶은 것도 많고 하고 싶은 것도 많은 건강한 생명력이 느껴진다. 《가수리 · 뒤맞이》 [91] 가수리 · 뒤맞이 -9:30-12:38, -서순실 〈가수리· 뒤맞이〉는 26일(신구월 그믐날) 굿을 끝마치고, 27일(10월 1일) 계속되었다. 그런데 〈가수리〉나 〈뒤맞이〉라는 송신굿은 모든 신들을 돌려보낸 후, 마지막으로 그 신들을 따라온 하위 잡신(下位雜神)들을 대접하여 보내는 굿이다. 신을 보내는 것도 신을 청하여 들일 때처럼 가수리, 뒤맞이 순으로 며칠에 걸쳐 이루어진다. 남아 있는 잡귀잡신을 말끔히 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수리〉 와 〈뒤맞이〉는 택일하여 하는 또 하나의 '하루굿' 이라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굿이 끝나고 이레 전에는 택일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본주 심방의 여건을 고려해서 이어서 진행하게 되었다.
유형
동영상
학문분야
종교 > 무속
생산연도
2011
저자명
KBS 제주방송총국
소장처
KBS 제주방송총국
조회
33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