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KBS 제주큰굿 열넷째 날 - 영개돌려세움, 군웅만판

분야별정보 > 종교 > 무속



14. 열넷째 날: 《영게돌려세움》《군웅만판》《큰대지움》《안팟공시 신갈림》 10월 26일 수요일(음력 9.30.) 큰대는 굿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중요한 상징물이 된다. 큰대가 세워짐으로써 하늘의 신들이 땅으로 하강할 수 있듯이, 큰대를 지운다는 것은 하늘의 신들이 모두 자신의 원래 좌정처로 돌아갔음을 의미한다. 그러니 이제는 땅에 남아 있는 신들을 각자의 자리로 돌려보내고, 굿에 따라 든 각종 잡귀잡신까지도 모두 떠나보내는 의례들이 반복적으로 행해질 것이다. 굿은 죽은 사람을 위한 것이면서 동시에 살아남은 자들을 위한 것이다. 죽음은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가장 큰 장애물이다. 잘못한 일이 있어도 사과할 수 없고, 가슴속 깊이 묻어 두었던 말을 전할 수도 없다. 그렇기에 심방이라는 사제가 필요한 것이다. 〈영게돌려세움〉은 죽은 조상의 사령인 영게를 잘 대접하여 보내는 것이다. 이때 옷 한 벌씩을 준비해서 함께 태워준다. 하얀색 옷들 사이로 색이 고운 한복들이 섞여 있어서 심방에게 물어보았더니, 젊어서 죽은 사람들은 고운 물색의 옷을 태워준다고 했다. 고운 옷 한 벌로 서러운 마음을 달래고, 그래도 풀지 못한 설움과 한이 있다면 이것은 저승과 이승의 중간 지점에 있는 '미여지벵뒤' 가시나무에 걸쳐두고 저승으로 떠나가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신굿에서는 본주의 조상인 안공시와 굿을 하러 오는 수심방의 조상인 밧공시가 따로 있다. 굿이 끝나고 하늘과 땅의 신들이 모두 돌아갔으니, 이제 공시상의 조상들도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 〈안팟공시 신갈림〉은 안팟공싯상에 모셨던 명두(조상)들을 대접하여 돌려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열나흘 째 굿은 일찍 끝났다. 이제 큰굿이 거의 마무리되었으니 목욕탕도 다녀오고 집에 가서 푹 쉬었다가 내일 아침에 다시 오라는 수심방의 말대로, 우리들은 그날 처음으로 성읍을 떠나 짧은 휴식을 취할 수 있었다. 《영게돌려세움》 [87] 영게돌려세움 -9:00-10:30, -서순실 영게는 죽은 조상의 사령이다. 〈영게돌려세움〉은 큰굿의 마지막 날 집안혈연 조상의 영게를 잘 대접하고, 특별히 위하는 영게 몫으로는 옷 한 벌 장만해 극진히 대접하여 보내는 송신굿이다. 이때 이승의 사람들과 이별한 영게는 저승과 이승의 중간 지점에 있는 '미여지벵뒤' 가시나무에 이승에서 쓰던 것들을 허풍 바람에 불려두고 저승으로 떠난다. 《군웅만판》 [88] 군웅만판 -10:52-11:30, -서순실 〈군웅만판〉은 굿의 마지막 날 마지막 굿판의 석살림굿이다. 군웅은 군웅제석, 군웅일월, 일월, 일월제석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가문이나 씨족의 수호신을 말한다. 군웅만판은 그 굿에서 마지막으로 이 신을 즐겁게 놀리고 돌려보내는 재차이다.
유형
동영상
학문분야
종교 > 무속
생산연도
2011
저자명
KBS 제주방송총국
소장처
KBS 제주방송총국
조회
19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