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KBS 제주큰굿 열하루째 날 - 고분멩두 2, 고분멩두질침 1

분야별정보 > 종교 > 무속



11. 열 첫째 날: 《고분멩두》《고분멩두질침》《ᄆᆞᆯ놀이》《세경놀이》《잔잡힘》 10월 23일 일요일(음력 9.27) 〈당주맞이〉에서 수심방이 하는 굿이 모두 끝나면, 마지막에 신입무가 마당의 잿상[祭床]에서 집 안의 당주(堂主) 제상[祭床]까지 무조신(巫祖神)을 업어 들이는 순서가 있다. 마당의 젯상으로부터 집안의 젯상까지 무조신이 지나갈 길을 치위 닦는 일은 이미 수심방이 해 두었으므로, 이제 정식 심방이 된 신입무가 그 신(神)을 인계받아 자기의 당주 젯상에 업이 인도해 가서 모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당주다리 메어들' 은 삼시왕의 신통(神統)이 새로 심방의 길로 들어선 신입무(新入巫)에게로 이어졌음을 신과 인간을 이어주는 다리로 상징되는 무명천을 삼시왕 당클에서 당주 당클로 끌어들이는 모의적인 행위를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제차라 할 수 있다 '고분 멩두' 에서 고분(곱은)'은 '숨은'의 뜻이고, '멩두[明刀]는 무조신(巫祖神)의 신체를 상징하는 무점구(巫占具)이므로, '고분 맹두'는 '숨은 명도'라는 뜻이 된다. 이 제차는 당주(堂主) 심방의 명두(明刀)를 당클(祭棚)속에 숨겨 두고 여러 가지 복잡한 과정을 거쳐 찾아낸 다음, 명두의 주인에게 돌려주는 의식으로 일종의 '신물(神物) 찾기'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제차는 아주 복잡하고도 길게 진행되는데 이를 크게 명두 내력 밝히기, 문점(問占) 하기, 명두 찾기의 세 단락으로 정리할 수 있다. '명두 내력 밝히기' 부분은 굿을 하는데 사용되는 무구(巫具), 무악기(巫樂器), 무복(巫服)의 내력을 〈초공본풀이〉에 근거하여 제시하고, 명두의 길을 바르게 하는 내용으로 시작된다. 그런 다음 명두 중 하나를 당클에 숨기는데, 실제 굿의 내용에서는 명두를 도둑맞은 것으로 이야기한다. 그리고 잃어버린 명두를 찾아다니는 심방과 굿에 참여한 소미들이 수수께끼 문답을 통해 잃어버린 명두의 정체가 무엇인지 밝혀낸 후, 명두를 잃어버렸으니 새로 하나를 만들자고 하면서 혜학적인 내용으로 명두 만드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①〈초공본풀이〉 구송 → ②길치기 → ③명두 숨기기 명두 탐색 수수께끼 → ⑤명두 확인 → 새로운 ⑥명두 만들기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한 가지 명두의 내력을 밝히고 나면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 명두의 내력을 밝히는 과정이 반복되는데, '요령 → 북채 → 천문 → 무악기 → 신칼 → 무복' 의 순서로 진행된다. '문점 하기' 는 점쟁이를 찾아가서 잃어버린 명두가 이디에 묻혀 있는지를 알아내는 부분으로, ①점쟁이 내력 소개 → ②문점 하러 온 사연 → ③문점 결과의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점쟁이가 어떻게 하여 이 일을 하게 되었는지의 내력을 소개한 다음 그 결과를 알려주는데, "잃어버린 명두가 세경 땅에 묻혀 있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 된다. 복잡하게 진행된 '고분 멩두' 의 내용을 정리하면, 신체(神體)로 관념되는 무구(巫具)인 명두(明刀)를 수수께끼 과정을 거쳐 찾아냄으로써 신의 영력(靈力)을 획득하게 되는, 일종의 '신물 찾기'의 과정을 연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심방이 사용하는 명두의 내력을 밝힘으로 해서 명두의 영력을 보장받는 동시에, 신이 행했던 법대로 무구를 사용해야 함을 보여줌으로써 정통성을 확보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분 맹두' 제차에서 신입무의 잃어버린 명두(明刀)를 모두 찾고 나면, 수심방은 그릇에 수심방의 명두, 소미들의 명두, 신입무의 명두를 모두 넣고 요란하게 춤을 추며 뛰어다닌다. 춤을 추며 안팎으로 뛰어다니던 수심방이 당주상(堂主床) 앞에 와서 그릇 속의 명두를 한꺼번에 뿌린다. 그래서 뿌려진 신칼의 날의 방향, 상잔들의 엎어지고 자빠진 모습들을 보고 큰심방이 될 수 있을지를 판단한다. 이처럼 '안팎 명두'를 모두 모아 놀리는 과정을 통해 신입무의 신길을 바로잡는 굿을 '쇠놀림굿' 이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모두 삼시왕에서 입무의 허가를 받은 신입무에게 정통성을 부여해 주는 것으로, 〈당주맞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대목이라 할 수 있는 것들이다. 〈새ᄃᆞ림〉 [69] 새ᄃᆞ림 -11:10-11:35, -이승순 〈군문열림〉을 하여 신궁의 문을 연 뒤, 하늘의 은하 봉천수 맑은 물을 떠다가 제장의 부정을 씻고, 신이 하강하는 길의 모든 사(邪)를 쫓아, 굿판[祭場)의 부정을 씻어내는 동시에 아픈 환자의 몸을 아프게 하는 병(病), 마음의 부정까지 쫓아내어 새[邪]를 다리는 의식을 〈새ᄃᆞ림〉이라 한다. 〈군문열림〉 [70] 군문열림 -양창보 '군문' 은 하늘 신궁의 문이고, 신들이 굿판에 들어오는 '굿문' 이다. 심방이 도랑춤[回轉舞]을 추어 빙글빙글 돌며 신들과 감응하여 하늘 신궁의 문이 모두 열리면, 신들은 이 세상에 하강(下降)하여 내린다. 〈군문열림〉은 하늘 신궁의 문을 여는 것이며, 열린 하늘 신궁의 문을 통해 신들이 하강(下降)하여 지상에 내려오게 하는 강신의식(降神儀式)이다. 《고분멩두질치기》 [71] 고분멩두질치기 -12:40~, -양창보 '시왕곱은연질' 에서 '곱다' 는 '숨다' 와 '구부러지다' 두 가지 뜻이 있다. 그러므로 '곱은연질' 은 '숨은 길' 과 '구부러진 길'로 해석될 수 있다. 주접선생이 불도땅으로 가는 '시왕곱은연질'을 내어주었다고 했을 때, 젯부기 삼형제 무조신을 잉태하기 위하여 불도땅으로 찾아가는 시험이며 시련이다. 그러기 때문에 단순하게 구부러진 길이라고만 해석할 수 없다. '숨어 있는 길'을 찾는 시련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유형
동영상
학문분야
종교 > 무속
생산연도
2011
저자명
KBS 제주방송총국
소장처
KBS 제주방송총국
조회
36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