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KBS 제주큰굿 여덟째 날 - 도올림

분야별정보 > 종교 > 무속



8. 여덟째 날: 《도올림》《차사영 맞이 (1)》《차사영맞이 (2)》《차사영 맞이 (3)》 10월 20일 목요일(음력 9.24.) 〈시왕맞이〉는 '열두 시왕' 당클에 좌정한 신들을 맞이하여 죽은 영혼들을 해원(解冤) · 천도(薦度) 하는 굿의 절정을 이루는 단계다. 〈초공본풀이〉에 의하면, 무조 삼형제는 어머니를 살리기 위해 심방이 되어 어머니를 구하고 '삼천친제석궁'에 올라가 삼시왕이 된다. 삼시왕이 된 후, 양반집에 병과 재앙을 주고, 염라대왕에 명령하여 정명이 다 된 환자를 잡아오게 한다. 그러면 염라대왕은 저승 삼차사에게, 저승 삼차사는 강림차사에게, 강림차사는 본향당신에게 명령하고, 본향당신을 통하여 인간에게 죽음이 내려지는 것이다. 이때 인간은 병고(病苦)와 죽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굿을 한다. 결국 〈시왕맞이〉는 죽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굿이다. 심방은 〈영개울림〉을 통하여 사령의 맺힌 한을 풀어줌으로써 이승에 대한 미련과 죄업을 씻어준다. 그리고 집안에 환자가 있는 경우 "이 주당(住堂) 안에 아무개 몇 살 난 아이 정명이 다하였으니 시왕에게 천명을 보존시켜 달라."고 빌고, 그 대신 천하에 동성 · 동년 · 동배의 사람이 있을 터이니 환자 대신 잡아가 달라고 '대명대충(代命代充)' 으로 액을 막는 것이다. 따라서 〈시왕맞이〉와 〈질치기〉 단계는 큰굿에서 최고의 절정이며, 사령의 길을 잘 치워 닦아 '저승 상마을' 로 보내는 사자 천도를 통하여 산 사람(患者)의 병(=恨)을 고치는, 실제적인 문제를 푸는 단계이다. 〈시왕맞이〉를 하여 죽은 영혼들의 길을 닦아주고 '저승 상마을' 로 보낼 때, 심방의 입을 빌어 말하는 '분부사룀'을 〈영개울림〉이라 한다. 이는 죽은 영혼이 그 서러움을 울면서 말하기 때문인데, '영개' 는 영혼을 뜻하고 '울림' 은 '울게 함(泣)'을 뜻한다. 심방은 이 〈영개울림〉을 할 때, 죽은 영혼을 청해 놓고, "심방의 입을 빌어 말한다."고 하면서 영혼의 생전의 심회, 죽어갈 때의 서러움, 저승에서의 생활, 근친들에 대한 부탁의 말들을 울면서 말한다. 그러면 그 근친들은 영혼이 직접 이야기하는 것을 듣고 울음을 터뜨리게 된다. 이때 심방은 사령(死靈)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심방이 곧 죽은 사령이다. 그러므로 신과 직접 대면한 인간과 신과의 비극적 상황에 대한 아이덴티티가 이루어져 서로 울면서 한을 풀어 나가는 것이 〈영개울림〉이다. 즉, 죽은 사령이 (1) 울면서 이야기하면, (2) 그 이야기를 인간이 울면서 듣는 것이 '영개울림'에 의한 '한풀이'다. 《시왕도올림》 [49] 〈시왕도올림〉 -8:45-10:30, -강대원 〈시왕도올림〉은 모든 심방 조상, 안팟공시에 모신 옛 선생(심방 조상)에게 특별히 역가를 올리고 대접하는 공연의례이다. 심방은 시왕과 삼시왕에 보답상과 공시상을 놓고 조상에게 바치는 증물들을 당클에 도올리며 100근을 채웠는가 그 정성을 가늠한다. 이어서 '나까시리'란 차사에게 바치는 것으로 시루떡을 공중으로 던지며 놀리는 〈나까도전침〉, 기구한 운명을 이겨낸 '지장아기씨'가 이승에서 공덕을 쌓은 덕에 저승에 가 새로 환생했다는 〈지장본풀이〉를 창하고, 끝으로 군병(잡귀)들을 대접하는 〈군병지사빔〉을 하고 굿을 마친다. 〈나까시리 놀림〉 신에게 바치는 시루떡을 빙글빙글 돌리다가 던지고, 두 사람이 서로 주고받으며 놀리는 신소미들(小巫)의 춤이다. 〈나까시리 놀림〉은 "낙하(落下)하는 시루떡을 놀리는 춤"이란 뜻이다.
유형
동영상
학문분야
종교 > 무속
생산연도
2011
저자명
KBS 제주방송총국
소장처
KBS 제주방송총국
조회
26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