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KBS 제주큰굿 여섯째 날 - 관세우, 초이공메어듦

분야별정보 > 종교 > 무속



6. 여섯째 날: 《관세우》《초이 공 메어듦》《본향놀림》《시왕맞이 삼석울림》 《제오상계》《칠성본풀이》《석살림》 10월 18일 화요일(음력 9.22.) 초이공을 메어 들이는 것으로 〈초이공맞이〉가 완전히 끝나고, 본향과 군웅을 놀리는 〈본향놀림〉이 이어졌다. 먼저 〈토산당신본풀이〉에 따라 여드레 한집과 일뤠할망의 본을 풀면서 방울 풂과 아기놀림이라는 연극적인 굿을 함께 행하고, 그 뒤에 군웅만판을 놀았다. 기원· 영신의례는 4당클 중 제1 당클인 '삼천천제석궁' 당클에 좌정한 신들을 맞이하고 기원하는 개별의례로 〈불도맞이〉 · 〈초이공맞이〉 등이 실연된다. 이러한 굿들은 굿의 원리를 말하는 〈초공본풀이〉, 생명의 원리를 말하는 〈이공본풀이〉, 직업의 원리를 말하는 〈삼공본풀이〉를 굿본으로 하여 이루어진 〈맞이굿〉 이다. 이러한 맞이굿은 신을 맞이하여 기원하고, 신다리(神橋)를 안방으로 매어 든 다음, 다시 석살림굿을 하여 마치는 것이 특징이다. 〈시왕맞이〉가 시작되기 전에 삼석을 울려 시왕의 신들에게 굿하는 사실을 알린다. 〈시왕맞이〉의 삼석을 울린 이후이기 때문에 〈제오상계〉부터는 시왕당클의 굿이 시작되는 것이다. 〈제오상계〉의 의미에 대해 강대원 심방은 시왕이 내려오려고 하니 각 마을마다 토지관(본향한집)이 밖으로 전송 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오상계〉는 먼저 초감제로 신들을 청해 들이는데, 〈오리정신청궤〉의 막판에 저승의 최고신 삼시왕을 비롯한 모든 신들과 삼시왕의 이승 행차에 안내를 맡은 신인 감상관(=本鄕堂神)과 각 고을의 당신, 신당군졸(神堂軍卒)들이 모인 자리에서 가무오신(歌舞娛神)하는 놀이굿이다. 이때 심방은 본향당신이 되어 "니나난니 난니야." 하는 노래를 부르며 연물가락에 맞추어 춤을 추어 신들을 즐겁게 하면, 제장의 모든 구경꾼들도 따라서 노래하고 춤을 춘다. 이어서 굿을 준비하기 위하여, 술을 빚는 노동의 과정을 연출한다. 수심방이 일굴에 밀가루를 발라 부스럼이 난 험한 모습으로 등장하면, 소무는 "ᄉᆞ록이여!" 하며 외친다. 'ᄉᆞ록' 은 악(惡), 병(病) 또는 전상의 뜻이며, 수심방의 얼굴에 난 부스럼으로 표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록' 을 없애기 위해 '뱀을 없애는 굿' 을 해야 되며, 굿을 위한 제주(祭酒)를 마련해야 된다. 소무와 수심방에 의해 진행되는 대화는 굿하는 집에서 부지런히 움직이는 노동의 현장을 재현하고 있다. 떡과 가루를 가지고 그릇에 물과 섞어가며 게걸스럽게 만든 술을 가지고 본주의 집안 어른들에게 술을 먹이려 한다. 모든 집안사람들이 안 먹으려 하면, 침까지 뱉어놓은 더러운 물(=잘 익은 술)을 수심방이 홀짝홀짝 마셔버린다. 〈제오상계〉의 전상놀이는 장님거지가 등장하는 〈전상놀이〉가 아니다. '전상'이 '전생의 업보' 로서 '팔자', '직업', '버릇' 이라면, 여기에서의 〈전상놀이〉는 '나쁜 전상' 을 내놀리는 놀이다. 놀이의 진행은 고리동반을 수심방이 머리에서부터 얹고, '소록'이라 하면서 발끝까지 내려오는 장면을 연출하며, 이때 떡이 있는 곳은 병의 환부에 해당한다. 용놀이에서는 신들을 모시는 당클(선반에 매어놓은 제단)에 청룡 · 황룡 두 구렁이가 들어서 있다. 시각적 효과를 위해 양쪽 당클에 긴 광목천을 바닥까지 늘어지게 드리워 놓은 것이다. 당클은 하늘이고 바닥은 땅이라면, 구렁이가 머리는 하늘에, 꼬리는 땅에 드리워진 것이며, 이는 신성한 공간인 제장이 부정 탄 것이다. 그러므로 심방은 이 두 구렁이를 술을 먹여 잠들게 하고, 잠이 든 뱀 '천구아구 대맹이'를 신칼로 죽이고, 뱀의 골을 후벼 약으로 파는 뱀장사놀이를 한 뒤, 제장에서 뱀을 치워버리는 순서로 진행된다. 우선 심방의 사설 속에 '천구아구 대맹이' 라는 용이 노는 길을 보면, 천지간의 험악한 장소, 불길한 장소다. 이와 같이 용이 노는 곳은 구름이 많은 길, 궂은 바람이 휘몰아치는 길, 무조 삼형제를 유배한 길, 간질간질 병을 옮기는 길, 뻘 많은 구렁텅이다. 따라서 용은 불길하고 사악한 존재라 할 수 있다. 또 놀이의 내용을 보면, 심방은 용이 어디에 있나를 신칼로 점치고 나서 멀찍이서 엎드려 소무와 대화를 한다. 이렇게 하여 뱀을 발견하면, 제 힘으로 뱀을 죽일 자신이 없다 하며 구경꾼과 의논하여 술을 먹이기로 한다. 청룡 · 황룡이 술을 먹고 잠들게 되면, 그때서야 뱀 있는 데로 살며시 기어가서 신칼로 단숨에 뱀을 쳐 죽인다. 뱀장사놀이는 사악한 뱀을 죽여 그 골을 후벼 파서, 인간의 생명을 살려내는 약으로 파는 데 극적 풍자가 있다. 징그러움 · 무질서 · 병 · 악과 같은 무형의 것들을 뱀으로 설정, 주력(呪力)을 가진 신칼로 죽일 때까지 술을 빚고, 뱀에게 술을 먹여 잠들게 하고 죽이는 과정에서 《관세우》 [36] 관세우 -7:50~8:09, -정태진 신을 재차 청신하는 마지막 과정인 〈초상계〉가 끝나고 나면, 모든 신들이 내려와 제장 당클에 좌정하는 날부터 신들이 하늘에 오르기 전까지 심방은 굿을 하는 동안 신들의 침소를 돌보고, 아침 기상과 함께 하루 일과를 준비하는 일, 아침에 일어나 세수하고 의관을 정제하는 일, 차를 마시고 담배를 피우는 일까지 신들이 아침에 일어나 하는 모든 일을 도와야 한다. 이를 〈관세우〉라 한다. 《초이공 메어듦》 [37] 초이공 메어듦 -9:10-10:05, -서순실 〈초이공 메어듦〉 초공다리를 당주방으로 메어드는 굿으로 "나숩고 나수자." 하며 신길을 놓았던 다리를 밖에는 심방이 잡고 안방에는 본주가 잡아 서로 당긴다. 심방은 인정을 받으며 조금씩 양보하고, 본주는 사력을 다하여 안방으로 다리를 당기어 차곡차곡 개어 놓는다. 이를 '매어 든다'고 한다. 다리를 안방으로 당겨 차곡차곡 개어 놓은 다음에는 심방이 집안의 조상을 놀리는 〈석시〉 또는 〈군웅석시〉라는 석살림굿을 한다. 이 과정을 '잉어매살린다' 또는 '매어들여 석살린다' 고 한다.
유형
동영상
학문분야
종교 > 무속
생산연도
2011
저자명
KBS 제주방송총국
소장처
KBS 제주방송총국
조회
25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