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지역적 맥락에서 본 제주농촌지역의 성매매 지형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 과정에서 '피리'마을 주민과 다방종사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여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티켓영업 다방 중심의 성산업이 ‘특화 산업화’된 공간인 피리마을에 주목하여 지역적 맥락에서 제주 농촌 지역의 성매매 지형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지역개발을 통한 지역사회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조건의 변화가 마을 공간을 어떻게 성산업 중심으로 구성하는지 지역 주민과 다방종사 여성의 경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기존의 성매매에 관한 연구들은 티켓영업다방이 성판매여성의 성산업에 유입되는 초기 경로이자 십대여성의 고용 현상에 주목하였지만 피리마을의 다방종사 여성들은 대부분 4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중장년층 여성이며 성판매여성의 경험이 아닌 지역주민의 이혼, 가출, 자살 등의 가족해체 현상으로 티켓영업다방의 문제가 가시화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지역의 사회적 조건과 지역 구성원의 욕구가 상호작용하면서 성판매여성이 처한 환경과 성매매 지형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성매매의 문제가 성판매여성과 성구매남성 그리고 업주 등 직접적인 이해 당사자와의 관계에서 더 나아가 지역 주민과의 관계로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존의 한국사회의 성매매에 관한 연구들은 성판매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국가, 민족, 성산업의 착취 구조, 성구매 남성과의 관계에서 각각 이루어졌지만 지역 주민의 경험에 주목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존의 논의들이 피리마을의 티켓영업방식과 이와 관련된 문화 현상들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제주지역의 지역개발과정에서 경제적, 사회문화적 조건의 변화의 맥락에서 지역 주민과 다방종사여성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지역 주민에 대한 면접과 마을의 현지조사 과정을 통하여 참여관찰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리마을의 성산업 지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피리마을은 티켓영업을 통한 성산업 중심의 상권과 주민들의 생활공간이 공존하는 공간적 특성이 있으며 성산업으로 인해 농촌 지역에서는 이례적으로 높은 지가(地價)를 형성하고 있다. 피리마을의 다방종사여성의 고용, 영업 방식은 다른 지역과 차이를 보이는 데, 차 배달 없는 노골적인 ‘아가씨 장사’와 다방종사여성의 프리랜서 영업이 눈에 띠며 지역 남성은 다방종사여성을 ‘족은각시(작은부인)’로 호명하며 장기적, 독점적 관계에서 단골장사를 선호한다. 다방종사여성들은 대다수가 중장년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피리마을을 삶의 ‘종착지’로 여기는 여성들로, 피리마을의 경제적 조건과 사회적 인식은 다방종사여성들이 피리마을에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 지역 주민들은 다른 일과 마찬가지로 다방종사여성의 일을 일로써 인식하고 다방종사여성에 대한 비하나 낙인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다방종사여성은 지역 주민화되는 경향이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여성
생산연도
2009
저자명
강경숙
소장처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조회
18
첨부파일
지역적 맥락에서 본 제주농촌지역의 성매매 지형에 관한 연구 - 지역개발 과정에서 피리마을 주민과 다방종사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