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한국적 이미지 원형 연구: 제주신화 이미지의 기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문화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최근 문화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지역적으로 역사적 인물과 지역 설화와 신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관심과 더불어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신화의 경우에는 자연과 인간의 탄생과 그 전개과정, 그리고 외계현상에 관해 인간이 가졌던 의문과 연관되어 전해져오는 가장 오래된 이야기이자 인간 삶의 함축된 청사진이다. 그 만큼 신화의 내용에는 현대 과학문명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소중한 생활의 지혜와 아이디어 등 상상력이 담겨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이미지의 원형을 찾기 위한 연구로 제주신화 이미지에 관한 분석을 하고 그 분석내용을 문화콘텐츠 개발의 근간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글로벌 시대에 한류문화의 성공적인 정착으로 글로벌 콘텐츠 개발과 지역적인 마을 단위의 문화 콘텐츠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 문화 콘텐츠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무형문화 복원과 재현을 통한 역사문화 콘텐츠 개발을 필두로 수원화성, 신문고 제도, 단오제, 한국의 춤 등 다양하다. 최근에는 설화나 신화의 내용을 스토리텔링에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디지털 측면에서 웹툰,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소설에 활용하거나 스토리를 중심으로 그림책이나 이야기책에 활용하는 경우들이 늘고 있다. 제주신화도 이런 설화나 신화에 대한 콘텐츠 개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들 선행연구들의 특징은 디지털 콘텐츠화 연구에 점차 스토리텔링을 접목하여 매체의 다변화에 대응하여 성공적인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수렴되고 있다. 제주에 남아있는 신화와 신화 관련 대상물에는 우리나라 육지부에서 흘러들어온 선진문화가 오랫동안 정착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제주신화 이미지는 한국이미지 원형과도 연결될 수 있으며 본토에는 사라지거나 변형된 원형들이 잔존할 수 있는 것이다. 제주신화 이미지의 한국이미지 원형 접근은 제주 「내왓당 신화」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내왓당 무신도 10신위」와 제주 「천지왕 본풀이」신화의 스토리 중심의 서사구조에서 나타나는 신화이미지와 한국이미지와의 관계성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문화
생산연도
2017
저자명
강연심
소장처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20
첨부파일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한국적 이미지 원형 연구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한국적 이미지 원형 연구- 제주신화 이미지의 기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