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 연구: 제주교육박물관을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문화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지역의 문화는 해당지역의 오랜 역사를 배경으로 전통적 기반 위에서 성장하고 발전하는 것이다. 문화와 전통은 지역주민들이 오랜 세월 동안에 축적해 온 생활양식과 의식구조 등을 반영한 결과로서, 과거와 현재 나아가 미래를 일관하는 지역적 특성 혹은 공동체 의식으로 자리잡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전통과 문화를 올바르고 가치 있게 이해하고 재창조하는 노력은 곧 현대의 문화활동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지역주민들이 문화활동의 일환으로서 혹은 학교교육과 관련된 사회과 학습이나 역사학습에 중점을 두고 박물관을 찾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각 지역마다 학생들에게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동시에 그 가치를 이해시키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학교에서 행해지는 수업내용의 일부를 보충하거나 정해진 횟수의 현장학습을 소화하는 정도에 그치는, 그야말로 아주 소극적인 차원에서 박물관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학교교육의 현실을 개선해 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전통과 문화의 산실인 지역 박물관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생소하게 느낄 수 있는 전통문화에 대하여 친근감을 가지고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논의의 흐름은, ① 초등 사회과와 지역 박물관 학습과의 관련성 ② 제주교육박물관의 현황과 박물관 학습 ③ 제주교육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의 제시 라는 세 가지 대주제를 토대로 하여 전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은 개별화 과제 선택학습, 소집단 주제 협동학습, 박물관 현장학습의 세 가지 형태로 구안하여 접근하였으며, 지역 박물관의 사례로서는 ‘제주교육박물관’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핵심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과와 지역 박물관 학습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제주도에서는 사회과 교과서의 단원 중 ‘경제’와 ‘정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단원이 지역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여러 가지 자료와 깊게 관련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초등학교 사회과 학습이 지역 박물관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습할 단원과 지역 박물관의 자료(인쇄자료), 전시물, 학습방법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개한다면, 결과적으로 사회과의 학습능력이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는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둘째, 제주지역의 박물관은 제주의 특수한 자연환경을 이용했던 생활모습과 전통적인 문화양식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시물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고장생활의 변천이나 지역의 역사 및 문화적 특성과 관련된 학습주제를 소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문화
생산연도
2004
저자명
고홍자
소장처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조회
18
첨부파일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 연구 - 제주교육박물관을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