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公共圖書館의 運營 活性化에 關한 硏究: 濟州特別自治道敎育廳 所屬 圖書館을 中心으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문화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 지식정보의 인프라구축을 위한 도서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지식기반경제시대에 지식의 축적과 활용은 앞으로 부의 수준을 가름하는 초석이 된다. 따라서 지역주민들의 요구하는 다양한 정보를 쉽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이용자간에 정보의 격차(digital divide)를 줄이는 중추적 역할을 도서관이 수행해야 한다. 2006년 7월 1일부터 제주특별자치도로 행정계층 구조가 개편되면서, 타 시·도와는 차별화된 공공도서관 역할이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법적이나 제도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운영하는데 있어 일부 OECD국가와 타 시·도 교육청 및 제주특별자치도 소속 공공도서관과의 운영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설문조사 결과 나타난 문제분석을 통해 지방화 시대에 공공도서관의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새로이 변화하는 도서관상을 정립하는 데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설명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선행연구의 검토 결과를 도출하고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내용을 요약정리 하였다. 제3장은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운영현황 및 시사점으로 외국 및 국내공공도서관의 현황과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타 시·도 공공도서관과 일부 OECD국가 공공도서관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첫째, 도서관 기능의 활성화 문제, 둘째, 도서관 직원의 충원문제, 셋째, 도서관의 재정확보 문제, 넷째, 도서관 직원의 전문성 향상 문제, 다섯째, 학교도서관과의 협력 문제를 도출하였다. 제4장은 앞장에서 도출한 문제해결을 위해 제주도내 공공도서관 근무자를 대상으로 구체적 실태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 분석의 틀에서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설문조사의 설계와 설문조사 결과 첫째, 도서관 직원의 충원 및 실태, 둘째, 도서관의 재정확보 및 실태, 셋째, 도서관 직원의 전문성 향상과 실태, 넷째, 학교도서관의 협력 및 실태를 분석하였다. 제5장은 제3장과 제4장의 공공도서관 현황에서 나타난 제문제와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토대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은 평생학습센터로서 사회적 기능에 치중한 행사위주의 도서관 운영과 독서실 기능 위주의 도서관 운영에서 벗어나 고유기능인 장서 및 정보의 확보나 제공기능 등에 충실하여, 퍼블릭 액세스 포인트(Public Access Point)의 도서관인 지식보고의 중심도서관으로 위치를 다져야 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문화
생산연도
2008
저자명
현상숙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17
첨부파일
公共圖書館의 運營 活性化에 關한 硏究 - 濟州特別自治道敎育廳 所屬 圖書館을 中心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