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石) 문화: 생활용구, 방어시설 및 사회적 기능체로서의 용도를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문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 연구는 石多의 환경하에서 돌의 이용의 역사와 방법을 究明함으로서 제주지역 문화의 이해를 들고 조상들의 정신세계를 탐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통해 향토교육의 자료로 이용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사전문헌연구와 현지조사를 실시했다 사전문헌연구에서는 발표된 기존의 논문들과 제주전반에 관한 문헌에서 수집·조사하고 현지조사에서는 제주의 전역을 대상으로 직접 관찰하고 면담한 자료를 이용하여 사진촬영과 실측을 병행했다. 내용은 생산·생활 용구 제재(題材)로서의 돌, 방어시설재로서의 돌, 신앙 대상 상징으로서의 돌, 사회적 기능체로서의 접근을 시도했다. 생산·생활 용구 제재로서의 돌은 첫째, 생산용으로 농기구, 어로기구, 경계 및 방축용으로서의 돌을 고찰해 보았고 둘째, 주거용으로 건축재, 생활용구, 도정 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 번째는 牛馬와 관련된 기구를 살펴보았다. 방어시설재로서의 돌은 城(邑城, 鎭城, 環海長城)과 烽燧·烟臺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신앙대상 상징으로서의 돌은 장묘석(지석묘, 동자석), 防邪塔, 돌하르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회적 기능체로서의 접근은 비석거리, 삼사석, 등돌로 나누었다. 마지막으로는 위에서 살펴본 돌들과 관련된 분야들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방아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보존방안으로는 주변에 있는 문화재에 대해 세심한 조사와 고증작업의 선행, 일관성 있는 문화재 관리정책을 위한 방안, 문화유적지 주변의 자연환경과 보전에 관심, 도외로 반출되는 문화재에 대한 단속과 점검의 필요성을 들었다. 활용 방안으로서는 향토교육자료로서의 이용방안과 관광 자원으로서의 활용, 일상생활에서의 활용 방안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문화
생산연도
1998
저자명
김종석
소장처
강원대학교 도서관
조회
49
첨부파일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石) 문화 - 생활용구, 방어시설 및 사회적 기능체로서의 용도를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