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CSI(Hard-Culture-Service-Image)융합을 통한 제주도의 지속가능한 지역브랜드 디자인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문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국가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21세기에는 도시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이 되고 있다. 지방자치시대가 열리고 지역마다 차별화 된 지역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지역브랜드를 구체화 할 접근방법이 정립되지 않아 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브랜드 체계의 정립을 위해 국가브랜드 위원회에서 언급한 Image-Hard-Culture-Service 지역브랜드 도구를 선행연구인 브랜드 가치체계의 구성모형, 도시브랜드 육각형모형, 브랜드 자산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토대로 HCSI(Hard-Culture-Service-Image) 체계의 지역브랜드 모형으로 도출하였다. 이는 Hard를 대표하는 자연자원과 Culture를 대표하는 문화자원의 연계를 통해 창의성을 더한 Service 자원이 더해져 이상적인 지역Image를 구축하는 것으로 이러한 체계를 통해 제주도의 지역브랜드 디자인을 위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의 지역브랜드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지역브랜드 사례를 조사하고 HCSI 체계의 지역브랜드 모형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미국의 산타페, 프랑스의 디종, 그리스의 산토리니섬, 모로코의 마라케시는 Hard한 자원을 독특한 Culture와 결합하여 지역 고유의 환경색채 Image를 만드는데 성공한 사례다. Hard한 자원에 그 지역의 풍부한 Service를 결합하여 최상의 지역 Image로 이끈 사례로는 호주의 멜버른, 사우스캐롤라이나의 힐튼 헤드아일랜드가 있다. 유배문화를 바탕으로 불교문화, 다문화를 서비스 콘텐츠로 발전시킨 중국 하이난성, 아름다운 자연환경인 Hard자원과 지속가능한 Culture를 배경으로 최상의 Service 콘텐츠를 적용시켜 지역브랜드 Image 유형화에 성공한 로트네스트 아일랜드도 주목할 만한 사례이다. 둘째,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제주도 자연환경에 대한 긍정적 평가로 청정섬 제주에 대한 높은 선호도는 환경오염, 웰빙, 힐링 등의 영향으로 제주 지역브랜드 개발에 반영해야 할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세계자연유산의 브랜드화와 재방문 유도를 위한 소비자의 참여 및 체험기회 확대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여행지로서 호의적인 평가를 얻고 있는 제주도는 유네스코가 인정한 자연환경의 아름다움, 청정한 섬 제주도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바탕으로 다시 오고 싶은, 오래 머물고 싶은 제주를 만들기 위한 융합적인 콘텐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제주도 북부에 위치한 제주시와 남부의 서귀포시의 동∙서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실시한 현장조사를 토대로 HCSI 체계를 적용한 제주도의 지속가능한 지역브랜드 디자인을 위한 세분화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문화
생산연도
2016
저자명
안수민
소장처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조회
15
첨부파일
HCSI(Hard-Culture-Service-Image)융합을 통한 제주도의 지속가능한 지역브랜드 디자인.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