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운동과 노래운동의 사회적 의미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문화



1980~1990년대 한국사회에 나타난 문예운동은 한국 민주화운동의 담론투쟁 창구이자, 인적・물적 자원의 동원 통로였다. 2000년대 들어 4・3사건과 5・18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문예운동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면서 그동안 유실되었던 문예운동의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며, 한국 민주화운동에서 차지하였던 문예운동의 역할과 의미를 재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유독 4・3사건 관련 노래운동은 자료 수집의 난항으로 연구와 분석에서 진척이 더디었다.특히 제주4・3사건진상규명운동이 진행되었던 10여 년 동안 150여곡 이상의 4・3사건 관련 창작곡이 발표되었으며, 진상규명운동의 중요 담론매체로 활약하였음에도 그것에 대한 평가는 거의 존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을 목표로 하였다. 첫째, 노래운동의 역사적 자료를 수집하여 궤적을 정리하는 것이며, 둘째, 제주4・3사건진상규명운동에서 노래운동의 활약상을 조명함으로써, 담론 및 사회적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자료 수집 및 연구결과 4・3사건 관련 70여곡의 곡명을 찾을 수 있었으며, 미흡하지만, 창작곡 30여곡의 악보도 수집할 수 있었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노래운동의 계보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노래운동의 주요 수행 주체와 수행 형식, 수행 담론 등을 분석할 수 있었다. 특히 다른 담론 매체에 비해 20~30대 낮은 연령과 비전문적인 수행 주체들의 위치는 4・3문예운동의 역학관계에서 노래운동에 대한 평가를 탈각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로 하여금 과거 4월의 비극성과 현재의 4월을 연결하는 상상공동체를 창조함으로써, 담론의 유포와 탈구조공동체 코뮤니타스(communitas)의 역할은 다른 매체들에 비해 강력하였다. 또한 다른 매체들과 달리 항쟁 및 학살과 같은 주요 담론들의 하위에 필요한 언어들을 동원하여 다층적 담론의 위계질서를 형성하는 특성도 드러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제까지 파악되지 못하였던 제주4・3사건진상규명운동 시기의 노래운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4・3사건 관련 문예운동에서 탈각되었던 노래운동의 역할과 사회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4・3문예운동에 대한 평가를 온전히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문화
생산연도
2017
저자명
현혜경
소장처
KCI
조회
21
첨부파일
제주4・3사건진상규명운동과 노래운동의 사회적 의미.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