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2012 박물관 연보 제4호 - 제주옹기 생산방식의 전승양상과 특징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민속



제주지역은 지질학적 특징으로 인해 다른 지역에 비해 옹기(허벅)가 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 대체용기의 도입으로 1980년대부터 수요가 급격히 떨어졌고, 현재는 문화상품으로 소규모 소품을 생산하고 있다. 제주옹기 제작기술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현재 제주도에서 옹기를 생산중인 두 공방의 장인들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제주옹기는 제주의 흙으로만 생산할 수 있으며, 발물레를 사용해서 두드려 만들어야 한다는 점, 보로롱 문양을 넣어야 하며 잿물을 칠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 화산석으로 만든 돌가마에 소성하여야 하면 소성온도가 1200도 정도로 높아야 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옹기 생산방식의 특징은 나아가 제주옹기의 정체성을 밝히는 일이기도 하며, 보다 올바른 지역문화를 이해하기위해 전국적 규모로 조사하여 연구할 때 보다 깊은 이해에 도달할 것이라 생각한다.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사회과학 > 민속
생산연도
2012
저자명
김재경
소장처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
조회
29
첨부파일
2012 박물관 연보 제4호 - 제주옹기 생산방식의 전승양상과 특징.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