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옹기가마의 구조와 그 연원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민속



탐라문화 37호

 

제주도 옹기가마는 타지역과는 다른 형태로 인해 세계 유일의 돌가마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물론 현재 남아있는 제주도 옹기가마의 외형은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가 제주도에서 옹기를 제작하기 시작하는 초창기부터의 모습이라고 단정할 수 없으며 제주도의 토착기술이라고도 할 수 없다. 이는 제주도의 토제그릇 생산의 역사를 볼 때 ‘고산리식토기’로 불리는 적갈색토기의 생산 이후 조선시대 옹기생산 시기까지 오랜기간 기술적인 공백기가 있었으며 또한 노천요 혹은 수혈요와는 달리 고화도와 환원, 산화염 번조 환경으로 조절이 가능한 등요(登窯)의 축조는 기술적인 축적없이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작업이 아니므로 기술 혹은 기술자의 유입 없이는 이러한 기술이전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민속
생산연도
2010
저자명
김정선
소장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조회
25
첨부파일
제주도 옹기가마의 구조와 그 연원(김정선37).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