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전통민가를 통해 본 섬유작품 연구: 색채 및 조형을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민속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인간의 지각과정에서 색채는 중요한 부분이다. 인간은 수많은 색채 환경 속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여 깊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고대로부터 우리는 색채로 진단하고 색채로 치료하는 과정이 있었으나 근년 특히 이 부문이 크게 확대되어 가고 있으므로 현대에도 색채로 치유하고 색채로 인생을 전환시키는 일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인간 중심적이고 인간, 빛, 환경의 관계성을 연구하는 NCS는 색채의 내재적 속성을 명확하게 도식화하고 일관성 있게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색채의 정확한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색채는 그 지역의 문화를 반영하므로 색채 활용에 적극적 자세가 요구된다. 나라마다 문화와 지역성에 따라 독특한 색채문화가 생성되어 그 문화와 자연환경에 맞는 고유의 색채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 색채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고유한 자연 환경과 문화를 가지고 있는 제주도는 섬이라는 지리적 환경과 화산활동으로 인한 지형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고유하고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나라마다 문화에 따라 독특한 색채 문화가 형성되어 고유한 색채를 가지고 있으므로 고유색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대자연의 혜택을 순응하는 자세로 순수하고 소박하게 살면서 순수한 미를 창출한 제주 고유의 민속 문화를 제주도 전통민가의 색채와 형태로 재창출하려는 연구이다. 제주도의 문화적 전통은 한국적 전통에서 형성되고 발전되어 왔으므로 향토 문화에 대한 인식을 통해 전통 문화를 반영한 섬유 작품을 표현하고자 한다. 조형원리에 의해 색채와 형태의 조형성을 표현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 빛, 환경의 관계성을 중시하고 인접색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NCS를 근거로 색채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지역색은 자연발생적 또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에 따라 다른 칼라팔레트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역의 고유한 색채를 찾는 일은 중요하다. 셋째, 우리나라에서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제주도 전통민가의 색채를 NCS에 적용시켜 객관적으로 제시하였다. 넷째, 지형상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고유한 전통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제주도 전통민가의 초가의 '새'와 지붕의 격자형의 새끼줄 형태, 자연재료로 만들어진 민가의 외벽, 민가를 둘러싸고 있는 담 등은 지형상의 특수성과 전통적 특징을 반영한 형태이다. 다섯째, 제주도 전통민가의 색상과 형태로 전통 문화를 반영한 섬유 작품을 표현할 수 있다. 제주도 특유의 색상에서 채도 대비에 의한 강조, 깊이감과 생동적 이미지의 색채 효과, 반복과 변화에 의한 통일감, 다양한 질감의 변화에 의한 생동감을 표현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민속
생산연도
2002
저자명
손성아
소장처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조회
22
첨부파일
제주도 전통민가를 통해 본 섬유작품 연구 -색채 및 조형을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