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전통놀이 분석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민속



탐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 연구는 제주도 전통문화라는 맥락에서 제주도의 전통놀이가 갖는 의미에 대해 주체, 시기, 공간별로 분석해 봄으로써 제주도 전통놀이에 대한 이해 및 계승 발전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전통놀이의 주체적(연령·성별·집단크기)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제주도 전통놀이의 시간적(계절·연중)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제주도 전통놀이의 공간적(놀이환경·놀잇감)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57종의 제주도 전통놀이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양적 분석과 함께 내용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전통놀이를 주체적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유아기(5~7세) 에는 빈곤한 생활로 인해 놀이가 많지 않았으며, 아동기(8~13세) 놀이는 어른들의 놀이를 모방하거나 노동에 함께 참여하면서 즐기는 형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의 전통놀이는 남아놀이가 여아놀이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제주도의 전통놀이는 남녀 구분 없이 행해진 놀이들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집단크기에 있어서도 대집단놀이보다 소집단놀이가 보다 우세하였다. 이는 제주도 전통놀이문화의 주체 평등성으로 그 의미를 읽을 수 있다. 둘째, 제주도 전통놀이를 시간적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계절별로는 농한기인 겨울에 주로 이루어지는 놀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반도 타 지역의 전통놀이와 달리 연중 행해진 놀이가 많이 나타났다. 이는 제주도가 토양의 특성상 논농사에 의존하지 않았으며, 또한 연중 온난한 기후환경을 지니고 있어 나타난 것으로, 노동의 성격을 띤 놀이가 많았다는 것이 특성이다. 셋째, 제주도 전통놀이를 공간적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한반도 중심의 한국의 전통놀이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외 자연환경이 주요 놀이 환경이었으며, 놀잇감에 있어서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자연물이나 이를 가공한 놀잇감을 이용했던 것으로 나타나 자연친화적 특성을 읽을 수 있다. 한편, 한라산을 중심으로 생식하는 꿩이나 노루 등을 제재로 삼은 놀이나 숨비질놀이와 같이 바다를 배경으로 하는 놀이가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민속
생산연도
2003
저자명
이월심
소장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조회
38
첨부파일
제주도 전통놀이 분석.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