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전통 산육속의 전승실태 조사 연구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민속



팀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 연구는 제주도내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대상 개별 면접 및 현대 유치원 학부모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제주 전통 사회의 산육속을 조사하고, 이러한 전통 산육속의 전승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제주도 전통 산육속의 특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그 전승실태를 통해 육아문화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의 전통 산속(태교, 출산과정)의 특징은 무엇이며, 그 전승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제주도 전통 육아속(양아, 의례, 심리처방적 습속)의 특징은 무엇이며, 그 전승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산육문화에 대한 전통적 인식과 현대적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내 만 60세 이상 여자 노인 134명과 제주도내 유치원 학부모 250명이며, 연구 도구는 이경화(2003)의 연구에서 사용된 면접지와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노인 면접지의 자료처리는 빈도 및 백분율의 기초통계와 분석 틀에 따라 내용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부모설문지의 자료처리는 설문지를 통해 회수된 자료들은 Spss Windows용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응답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전통 산속의 특징과 전승실태를 보면, 태교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임산부의 보호에 대한 점은 소극적이었으며, 출산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자력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출산했던 자세, 메밀로 만든 음식을 출산후 음식으로 먹은 점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승실태에 있어서 태교의 필요성과 출산 후에 먹은 음식인 메밀가루가 전승이 되어오고 있으나, 탯줄과 태반처리에 있어서는 전승이 되어오고 있지 않았다. 둘째, 전통 육아속의 특징과 전승실태를 보면, 수유태도나 이유시기, 대소변 훈련 등에서는 엄격한 제한을 찾기 힘들었던 점과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삼승 할망에게 감사 드리는 치셋메와 삼일 상을 차리는 사흘메가 중시되었으며, 칠일이나 백일, 돌을 기념하는 행사는 생략되거나 간소화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 아기구덕의 활용도에 있어서 매우 높았으며, 사용시기도 길었던 점과 심리 처방적 습속으로 침 맞히기가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승실태에 있어서 수유시기, 이유시기, 아기구덕의 제작방법, 대소변 가리는 훈련방법 등은 전승되어 오고 있지 않고, 수유자세와 수유시의 주의사항, 아기구덕의 활용방법, 아기행사 때 할망상 차리기와 행사 때의 방법, 음식, 입힌 옷, 심리적 처방습속은 대부분 전승되어 오고 있다. 셋째, 산육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면, 전통적인 육아관과 현대적 육아관의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육아습관의 유사성에 대해서 전통과 현대 육아관의 인식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민속
생산연도
2003
저자명
안미선
소장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조회
25
첨부파일
제주도 전통 산육속의 전승실태 조사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