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고광민 민속 사진 - 알둑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민속



*연월일 : 1983년 5월 3일
*장소 : 안덕면 사계리 불미마당
*개요 : ‘둑’은 ‘알둑’, ‘샛둑’, ‘웃둑’으로 구성된다. ‘둑’ 3개를 따로따로 만들고 나서 서로 이어 붙인다. 지금은 ‘알둑’을 만들어 낸 상태이다. ‘알둑’ 만들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드럼통의 양쪽 마구리를 잘라내 버리고 50㎝쯤 정도 잘라낸 것을 세운다. 아래쪽에 직경 3∼4㎝ 정도의 구멍을 뚫는다. 이 구멍을 ‘잔치고냥’이라고 한다. ‘잔치고냥’은 완성된 ‘둑’으로부터 쇳물을 쉽게 받기 위해 점질의 흙으로 만든 것이다. 그리고 ‘잔치고냥’에서 5∼6㎝ 높이에 직경 10㎝ 정도에 쇳물 찌꺼기를 빼내는 구멍을 뚫는다. 이 구멍을 ‘청녹고냥’이라고 한다. ‘청녹’은 푸른색을 띤 쇳물 찌꺼기라는 말이다. ‘잔치고냥’으로 나올 쇳물은 비교적 무거우니 가라앉고, ‘청녹고냥’으로 나올 쇳물 찌꺼기는 비교적 가벼우니 뜬다. 그러니 쇳물은 ‘잔치고냥’으로, ‘청녹’은 ‘청녹고냥’으로 나오게 된다. 다시 드럼통 바닥에는 황톳물에 익반죽한 모래를 5∼7㎜ 정도 두께로 깔아준다. 이때의 모래를 ‘자릿몰래’라고 한다. ‘자릿몰래’는 둑의 밑자리에 깔아주는 ‘몰래(모래)’라는 말이다. ‘자릿몰래’를 깔아주어야 쇳물이 ‘둑’의 밑바닥에 고여 있으면서도 ‘둑’ 밑으로 파고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유형
사진
학문분야
사회과학 > 민속
생산연도
1983
저자명
고광민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42
첨부파일
고광민209.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