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2020 국가무형문화재 제4호 갓일 양태 공개행사: 장순자 보유자 양태 제작 시연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민속



2020 국가무형문화재 제4호 갓일 양태 공개행사

제주갓전시관

1964년 12월 24일 지정

 

갓은 조선시대 성인 남자들이 외출할 때 반드시 갖추어야 할 예복중의 하나로 원래는 햇볕, , 바람을 가리기 위한 실용적인 모자였으나 주로 양반의 사회적인 신분을 반영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갓 만드는 작업 과정을 통칭하여 갓일이라고 하며 갓은 넓은 의미로 방갓형과 패랭이형 모두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흑립·칠립·평립이라고 부른다. 갓일은 모자집을 만드는 총모자, 갓의 테를 만드는 양태, 이것들을 조립하여 완성키는 입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모자는 컵을 뒤집어 놓은 듯한 갓 대우 부분을 말꼬리털 또는 목덜미털을 사용해 만드는 것을 가리킨다. 양태는 대나무를 머리카락보다 잘게 쪼개서 레코드판처럼 둥글게 얽어내는 과정을 말하며, 입자는 총모자와 양태를 조립하면서 명주를 입히고 옻칠을 해서 제품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세 가지 과정은 서로 재료가 다르고 솜씨의 격차가 심하기 때문에 생산지를 달리하거나 따로 행해지는 것이 보통이다.

우리 민족의 의생활에서 필수품목의 하나였던 갓은 의복의 변화와 단발령 이후 점차 수요가 줄어들어 현재 통영, 예천, 제주 등지에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양태

갓모자의 밑 둘레 밖으로 둥글넓적하게 된 부분으로 갓의 차양부분에 해당한다대나무의 결을 이용하여 실처럼 가는 대오리(죽사)를 만들고 날줄의 쌀대와 씨줄의 조를대를 엮은 뒤 나선형의 빗대를 꽂아 제작한다.

양태를 제작하는 대나무의 결은 갓의 기능과 멋을 완성하는 중요한 부분이 된다.  

 

전승계보 및 전승내용

중요무형문화재 제4호 갓일 양태 보유자 장순자는 외할머니 강군일과 어머니 고정생을 이어 3대째 양태 인생을 걷고 있다어머니가 그녀에게 대나무 장사나 허라대나무 사올 ᄉᆞ름 업선 양태 못 졸암저(대나무 장사를 해라대나무 사올 사람 없으면 양태를 겯지 못한다.)”라고 권유하였기 때문에장순자 보유자는 23살대부터 10여년간 대장사를 하여 제주의 양태장들에게 대나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그러다 43살에 어머니가 국가 지정 무형문화재로 인정되면서부터 양태를 제작하는 일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하였다그러던 어느날 대굵어 안내카마씸?(대를 긁어드릴까요?)” 하고 어머니께 여쭈었더니 길목해보라. (대나무를 대칼로 훑어봐라.)”고 한 이후부터 3대에 걸친 양태 인생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던 것이다. 2000년에는 어머니 고정생의 뒤를 이어 양태장 모녀 2대째 양태장으로 인정되었다.

 

약력

1941             제주 출생

1982~89       전승공예대전 입선 

1985             전승공예대전 장려상 

2000            국가무형문화재 제4호 갓일(양태장보유자 지정

2009             제주 갓 전시관 개관

2000~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작품전 참여

 

보유자 외

이수자: 양선미, 양금미

전수장학생: 양영근, 고봉선

   

  

유형
사진
학문분야
사회과학 > 민속
생산연도
2020
저자명
제주학연구센터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54
첨부파일
IMG_4360.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