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마을 향약(규약)의 내용과 특성 분석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사회



제주도연구 제44권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의 마을에서 마을 규약의 역할로써 이어져 오는 향약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분석의 결과 개인주의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지역주민, 공동체, 정착이주민 등과의 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에 이차적 목적이 있다. 제주시 지역의 함덕리와 김녕리, 서귀포시지역의 마라도, 덕수리, 사계리의 향약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얻을 수 있었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가 지나면서 향약의 덕목은 하나씩 누락되고 있는 모습이다. 둘째, 과실상규의 경우는 과거에는 엄하게 적용하고 있었으나 현대사회에 와서는 그 적용이 약하되고 있었다. 셋째, 예속상교의 경우 웃어른에 대한 예우는 지금도 여전히 많이 남아있다. 넷째, 환난상휼의 모습은 지금도 많이 남아있고, 앞으로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자치요소는 대부분의 향약에서 중요시하고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리장에 대한 직접선거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여섯째, 자체사업은 모든 향약에서 규정하고 있었다. 일곱째, 공동부역에 대한 사항도 규정하고 있었다. 여덟째, 마을제에 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었다. 아홉째, 리정세 혹은 리운영비이다. 열번째, 덕수리와 함덕리의 경우 새 마을 운동사업에 대한 내용도 규정하고 있다. 분석의 결과를 통해서 행정학적 시사점 및 정책제언을 한다면 다음 네 가지로 제안할 수 있다. 1) 덕업상권과 예속상교는 공동체 회복운동으로 승화 2) 과실상규는 주민의 의식함양의 기준으로 설정 3) 환난상휼은 사회복지적 기능과 역할로 연결 4) 읍·면자치 마을자치의 정신으로 승화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사회
생산연도
2015
저자명
김일순 외
소장처
제주학회
조회
39
첨부파일
제주도 마을 향약(규약)의 내용과 특성 분석.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