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 재혼가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사회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 재혼가족의 결혼적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결과분석은 통계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SPSS WIN12.0통계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제주도 다문화 재혼가족의 결혼적응을 파악하기 위해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이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한국인 남성 혹은 외국인여성이(사별 혹은 이혼) 등으로 한번이상 결혼했으나 전혼이 해소되고 난 뒤 새로운 가정을 이룰 때 여성결혼 이민자, 혹은 한국남성을 배우자로 맞이하는 가족이다. 아내 111명, 남편 1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고 이중16쌍은 직접 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 재혼가족의 한국생활 적응은 여성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생활적응에 도움을 받은 곳으로 다문화 가족지원센타, 자조모임, 문화센타, 자치센타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결정권으로 자녀교육, 재산관리, 생활비지출 모두 남편의 주요 결정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음식 문화적응으로 여성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음식을 만들면 남편들이 맛이 없다가 가장 높았고 남편과 시어머니 37%, 방문교육지도사 33%, TV 17%, 기타 순으로 한국요리를 배운다. 넷째, 공공지원 프로그램을 분석해보면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으로 한국어교육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 및 자녀양육의 경우 방문교육지도사가 가장 많이 교육한다. 여섯째, 결혼동기 및 부부 적응 욕구를 살펴본 결과 한국 사람이 좋아서 한국인과 결혼한 이유가 가장 높았고 결혼전에 들은 이야기와 다름으로 인해 갈등을 경험한 적이 있다. 일곱 번째, 한국국적 취득에 대해 살펴본 결과 취득한 경우가 낮았는데 한국국적을 취득하지 않는 이유가 자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많은 경우 이중국적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 생활비를 살펴본 결과 시부모님의 도움여부가 전혀 없는 경우가 많아 자녀가 결혼하면 살림을 분가시키는 제주도가족의 분가제도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아홉 번째, 직업에 대해 살펴본 결과 직업에 대한 욕구는 높으나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을 갖는데 단순노무직이나 아르바이트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제주특별자치도에 다문화 재혼가족이 제주특별자치도 시민으로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도록 단기간의 서비스가 아닌 지역사회와 지방자치기관들이 함께 연계하여 지속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 또한 각 센터간의 중복서비스가 아닌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발굴해야할 것이다. 나아가 각 단체의 전문성을 높임으로 서 돌봄의 방법으로 다가가기 보다는 우리가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사회
생산연도
2013
저자명
김후자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17
첨부파일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 재혼가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