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회의 질과 행복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사회



부산대학교 대학원 벅사학위 논문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소득 증가가 삶의 전부가 아니라는 인식이 강해지면서 주관적인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경제적이고 물질적인 지표들이 행복의 절대요소가 아니며, 행복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지표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제기되어 온 것이다. 행복은 개인의 행복과 개인이 속해있는 사회의 행복이 통합된 형태로 결정된다. 따라서 궁극적인 삶의 질이란 개인의 삶의 질과 사회의 질이 결합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개인의 삶의 조건과 함께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의 조건이 합쳐져 행복도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궁극적인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서 개인의 삶과 사회의 질을 통합한 행복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사회의 질(Social Quality)은 ‘인간이 자신의 행복과 잠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황에서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삶에 참여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회적 맥락상의 일상의 질’에 관심을 갖고 지속가능한 복지사회를 위한 새로운 관점으로 유럽에서 등장하여 아시아권 국가들에서도 적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사회의 질 관점은 사람들에게 안녕(well-being)을 제공하는 사회를 목표로 하므로 지역사회 안에서 지역주민의 복지와 행복의 보장에 기여한다. 따라서 사회의 질은 그 사회가 얼마나 ‘좋은 사회’인지를 측정하는 개념적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의 사회의 질과 지역주민의 행복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의 질과 행복의 관련성을 밝혀서 더 나은 삶, 더 행복한 지역사회를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범위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는 먼저 행복의 개념을 고찰하고 그 결정요인을 국가별, 지역별 비교를 통해 검토하였다. 사회의 질 관련하여서는, 그 이론적 성립 배경과 의미, 사회의 질 주요 요건들을 살펴보았고 지역사회 행복연구에서 사회의 질 관점의 유용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사회의 질, 행복지수와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조사연구를 위한 이론적인 개념화를 하였고 이를 통해 측정도구를 설정하였다. 한편 이 연구의 대상지역인 제주지역의 특성을 고찰하였는데, 제주, 제주사회, 제주인의 특성과 사회문화적 인식, 동지역과 읍·면지역의 특징, 최근의 제주지역 환경변화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조사연구는 제주지역의 사회의 질을 사회경제적 안전성, 사회적 응집성, 사회적 포용성, 사회적 역량강화 차원에서 영역별로 평가하여 제주지역에서의 삶의 어떤 측면이 행복에 있어서 중요한지, 또한 동지역과 읍·면지역을 구분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사회
생산연도
2017
저자명
고수희
소장처
부산대학교 제1도서관
조회
15
첨부파일
사회의 질과 행복의 관계에 관한 연구-제주지역을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