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내 대학생의 외모 만족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 성향의 매개효과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사회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외모 만족도가 완벽주의 성향을 매개로 어떤 과정을 통해 대인관계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외모지상주의의 사회분위기에서 개인의 외모만족도에 따라 대인관계의 하위 요인인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완벽주의의 하위차원인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가 대인불안과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재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자료로써 유효한 65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외모만족도 척도는 Mendelson & White(1993)가 개발한 신체 존중감 척도(Body Esteem Scale)를 심경옥(2006)이 재편성 한 것을 사용하였고, 대인불안 척도는 Leary(1983)의 대인관계 불안 척도(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 ;IAS)를 김남재(1995)가 번안한 한국 IAS를 사용하였으며, Hewitt와 Flett(1991a)가 대인관계 측면에서의 완벽주의 성향을 고려하여 만든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를 한기연(199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신뢰계수(Cronbach's ��),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완벽주의 성향은 부분매개 하였다. 외모 만족도는 완벽주의 성향과 대인불안에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완벽주의 성향은 대인불안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상관관계 값이 유의하지 않아 매개효과를 예측하지 못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부분매개 하였다. 넷째, 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부분매개 하였다. 위의 결과는 외모 만족도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부적상관을 나타냄으로써 외모만족도가 낮을수록 대인불안 관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매개변인인 완벽주의 성향이 외모만족도와 대인불안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완벽주의 성향과 대인불안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즉,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대인불안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인불안을 낮추기 위해서 자신의 외모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사회
생산연도
2017
저자명
김현주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15
첨부파일
제주도내 대학생의 외모 만족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완벽주의 성향의 매개효과.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