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건강마을의 개념 및 설치방안 연구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사회



'건강마을'사업은 국민의 건강증진 향상을 위한 정부의 건강정책이 국민의 생활문화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건강 위해 형태를 직접 개선시켜나가고자 마련된 정책이다. '건강마을' 사업은 기존의 건강증진사업이나 건강도시사업과 같이 포괄적이며 다양한 방식의 주민 참여에 의해 진행되는 비정형화된 사업이아니라 중앙정부에서 관련 사업모형을 개발하고 해당 지방자치단체·민간 위탁기관과 함께 관련 입소시설 마련 및 운영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향해 접근하는 집중화된 사업이다. 이러한 '건강마을'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이와 연관된 지역개발 사업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중앙정부 및 해당 지방정부에서는 국내의 침체된 경기부양책 및 일자리 창출의 일환으로도 이 사업을 바라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점은 본 건강마을 사업을 단순하게 여러 건강정책 사업 중 하나가 아닌 중앙정부 차원의 집중화 된 전략 사업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 중앙 정부 차언의 '건강마을 설립 추진기획단'의 설치 운영을 제안하고자 한다. 설립을 위한 재원마련 방안에 대해서는 현재의 경제 위기하에서 민간기업이 중심이 된 재원마련 방식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 경제 사정을 감안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책임하에 건강마을 시설 설립을 완료 한 후 운영권을 민간에 위탁하는 방식'이 현실적인 방안으로 사료된다. 이 경우 민간 위탁운영 방식 중 경영효율화 및 건강마을의 설립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위탁운영 방식으로 "제한된 기간(약 5년) 운영권 보장"이 가장 현실성 있는 방안으로 사료된다. 또한 건강마을의 성공적인 설립 및 운영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정 및 정책적 지원아래 운영 주체의 각 학교, 민간기업, 공공기관 및 관련 단체를 상대로 한 적극적인 홍보 마케팅 활동이 절실히 요구되어 진다. 이상과 같은 방안이 실현된다면 건강마을 사업은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중앙정부·지방정부·민간위탁기관 3자가 협력하여 전개하는 획기적인 사업 모형 개발의 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사회과학 > 사회
생산연도
2009
저자명
박형근
소장처
제주대학교의과대학
조회
17
첨부파일
건강마을의 개념 및 설치방안 연구.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