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이주의 현황과 전망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사회



 탐라문화 50호

 

2011년 이후 제주 인구는 급속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제주 사회 내 변화가 급속하게 일어나는 데 반해 변화를 야기하는 제주 이주를 체계적이고 총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할 뿐 아니라 제주 이주에 관한 실태조사도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제주 이주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제주의 인구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제주 이주 현황을 고찰하였다. 2010년까지 제주 지역의 일반적 인구이동 현상은 제주시 동지역을 중심으로 인구 집중현상을 보였는데 제주 이주는 비교적 도시와 농촌 지역에 골고루 이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장년층과 10대 이전의 인구의 증가률이 높아 가족 단위로 이주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2011년 이후 매년 1만에서 2만 명 정도의 외지인들이 제주에 이주하면서 급속한 인구변동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주 이주의 유형을 (1) 귀농・귀촌 정착, (2) 창업 정착, (3) 문화・예술 정착, (4) 기업이전 정착, (5) 교육 정착 다섯 가지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기업이전 정착과 교육 정착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에서 제주 이주가 탈물질주의적 가치와 관계가 있고 이러한 유형의 이주가 현재 제주 이주의 주요 부분이었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은 경제 성장을 주요한 가치로 두고 발전해 왔다. 한국의 주요한 가치는 성장주의와 시장주의로 자리매김하였고 이는 다른 삶을 살기 위해 떠나는 사람들을 만들어 냈다. 성장주의와 시장주의가 주류를 자치하는 한국의 현실은 탈물질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는 제주 이주와 대립한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기존의 성장주의와 시장주의 체계를 급변시키지 않고 제주가 환경적 우위를 유지하는 한 당분간 제주 이주는 지속될 것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사회
생산연도
2015
저자명
김민영, 최현
소장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조회
38
첨부파일
김민영, 최현.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