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열린學習 展開를 위한 敎室의 OPEN化와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濟州地域 初等學校를 中心으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교육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근자에 와서 구시대적 환경의 전통적 교육은 21세기 미래사회에 적합한 대안교육으로서의 열린교육으로 인하여 그 빛을 잃고 있다. 열린교육 운동은 우리나라에 도입된지 불과 십수년이 지나는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급속히 전국으로 확산되어, 제주도에서도 전도에 걸쳐 초등학교 전부가 열린교육을 전개하고 있다. 이 것은 제주지역이 전국 최초로 '교육부지정 열린교육시범운영도'로 선정됨으로서, 전도적인 열린교육 운영의 계기가 마련된 셈이다. 그러나 시설환경에 있어서 짧은기간 동안에 준비없이 시설적 대처를 하다보니, 선진 외국의 사례와 달리 우리의 시대상황에 부합되도록 열린학습 공간이 구성되지 못하였고, 그러다보니 미래의 변화된 열린교육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공간구성 수법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초등학교를 표본으로하여, 우리나라의 열린교육을 위한 '학습공간의 오픈화 유형'과 '학습공간의 구성에 대한 수법 및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열린교육을 위한 학습활동에 대응할 학습공간의 형태'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우선 '제주지역 열린교실의 오픈화된 유형'을 찾기 위해 제주지역 열린학교의 설계도면을 분석하고, 이러한 공간의 이용에 관한 현장조사를 통하여 '공간 이용에 관한 행태를 인자별로 비교'하고, 그 유형에서 '학습활용상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초등학교에 구성되어 있는 '열린학습공간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조사는 '교사의 열린교육에 대한 의식', '학교 소재지', '학교규모', '학생수' 등이 고려되었는데, 조사내용을 가지고 오픈화된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므로서, '우리실정에 적합한 열린학습공간의 전형이 어떠한 것인가'를 알고자 하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시기적으로 열린교육의 초기단계인 우리나라에서, 교육환경에 대한 교사의 의식구조가 열린환경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은 교사로 하여금 어떠한 학습공간을 구성케 하는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학급단위교실의 공간구성 내용과 오픈화된 복도의 학습활용상의 문제점, 보다 확장된 오픈스페이스에서 이루어지는 학습활동 영역, 그리고 향후 열린교육 교수학습방법의 발전시기에 전개 가능할 수 있을 또 다른 형태의 학습활동에 대한 공간적 필요도 등을 조사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열린학습 공간구성을 위한 설계계획상의 지침을 마련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교육
생산연도
1999
저자명
양상철
소장처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21
첨부파일
열린學習 展開를 위한 敎室의 OPEN化와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濟州地域 初等學校를 中心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