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濟州道 민속마을 科學探訪을 통한 中學生들의 科學的 眼目 形成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교육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내된 질문과 수렴적·발산적 과학 탐구로 구성된 과학탐방 자료를 개발하고 지도 방략을 구안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과학탐방을 실시한 후,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우수성 평가 관점의 변화와 흥미 및 탐구 활동 경향을 알아보고, 안내된 상호 질문 활동이 안내 받지 않은 학생 질문 활동과 비교할 때 질문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여 과학적 안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첫째, 과학교육 전문가들의 과학탐방 활동과 토의 과정을 거쳐 제주도 민속마을 과학탐방 자료를 학생들에게 적합한 과제를 포함하여 탐방 전 활동, 탐방 활동, 탐방 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지도 방략으로는 탐방 전 학생들이 장소에 대한 생소함을 줄여줄 수 있도록 탐방에 대한 사전 안내와 자유롭고 개방적인 현지 탐방 활동 그리고 발산적 집중 탐구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탐방 후에는 현지 과학탐방 활동을 바탕으로 제주도 민속마을에 대한 과학적 가치 평가 활동과 토론, 반성적 사고 과정이 있었다. 둘째, 탐방 전과 후에 실시된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평가하기 설문을 통한 관점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 민속마을 과학탐방을 통해 학생들은 기존에 자신들이 가지고 있었던 생각들에 대해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새로운 준거를 고려하는 등 문화재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보였다. 즉,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을 타당하게 평가하기 위한 올바른 준거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을 판단하는데 보다 더 구체적 준거를 사용하는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셋째, 우리 역사 속 과학탐방의 맥락에서 제주도 민속마을과 그 문화재를 대상으로 과학탐방을 실시하여 정의적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탐방 후 학생들의 흥미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탐방과 탐구 활동을 통하여 탐구 대상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대상에 대한 흥미와 성취욕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학생들은 현지 탐방 때 평소와 비슷한 탐구에 대한 몰두와 낮은 협동성을 나타낸 반면, 집중 탐구 활동 때는 평소보다 과제에 대한 높은 몰두와 협동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탐구의 개방성은 현지 탐방과 집중 탐구 모두 평소 실험 때 보다 높았다. 따라서, 제주도 민속마을 과학탐방에서 학생들은 하나의 흥미 있는 주제에 대한 집중적인 탐구를 매우 선호하고 이러한 집중 탐구가 포함된 과학탐방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우리 역사 속 과학탐방이 비교적 높은 흥미와 탐구 활동 경향을 나타내었다. 넷째, 안내된 상호 질문 활동을 거친 학생들이 질문 활동에 대해 안내를 받지 않는 학생들과 비교할 때 과학 탐방 활동에서 어떤 질문들이 만들어지는지 알아보았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교육
생산연도
2001
저자명
고영임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18
첨부파일
濟州道 민속마을 科學探訪을 통한 中學生들의 科學的 眼目 形成.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