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비교 지역 관점을 위한 문화경관 이해의 유용성: 제주 돌담 경관과 유럽 보카쥬 경관의 사례 비교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교육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지역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지역을 특징짓는 요소들의 개념을 바르게 알고, 여러 개념들이 어떤 관계를 맺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행 초등 사회과 4학년 지역화 교재를 살펴보면 내용이 연관되지 않고 끊어지며, 어떤 원리에 의한 것보다는 단순한 사실 나열에 치우친 경향이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한 사실을 나열해 놓은 현행 지역화 교육 내용을 학습자들에게 의미있게 학습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비교 지역 관점을 제시하고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재에서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그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역을 비교하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사물의 본질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비교'방법을 사용하는 것처럼 두 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 지역 이해의 기본개념인 위치와 영역에 따라 어떤 지리적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각 지역마다 지역성이 잘 드러나는 것 중 하나가 문화경관이다. 문화경관은 자연과 인간이 만나서 만들어낸 가시적·정신적 상호관계를 표상하며, 자연 속에서 인간이 생존해 온 자취를 가장 잘 보여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학습할 가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인 '제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제주'의 대표적인 문화경관인 '돌담 경관'을 선정하였고, 비교 대상으로써 이와 비슷한 모습을 지닌 '유럽 보카쥬 경관'을 통해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교재화 하였다. 교재의 학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제 수업에 적용 후 학습자와 참관 교사의 질문지를 분석하여 파악했다. 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은 첫째, 두 경관의 형성배경을 비교하면서 제주도가 '경사가 완만한 화산섬'이라는 사실을 통해 돌이 많은 이유와 '대륙과 대양이 접해 있는 점'을 통해 바람이 많은 이유를 보다 쉽게 이해하였다. 또한 '제주 돌담 경관'이 '유럽 보카쥬 경관'보다 더 인간이 자연환경에 적응하면서 만든 경관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둘째, 두 경관의 변화과정을 비교하면서 돌담의 모습과 그 역할을 중심으로 알 수 있는 제주의 풍습과 제주 지역 안에서의 지역별 차이를 이해하게 되었다. 셋째, 오늘날의 두 경관을 비교하면서 '유럽 보카쥬 경관'은 유럽에서 역사적, 경관적, 생태계적 측면에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다. 반면에 '제주 돌담 경관'은 그 가치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농사과정에서 불편함으로 인해 사라져 가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교육
생산연도
2010
저자명
강성기
소장처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조회
17
첨부파일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비교 지역 관점을 위한 문화경관 이해의 유용성-제주 돌담 경관과 유럽 보카쥬 경관의 사례 비교.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