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지역화 학습을 위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제주민속촌박물관을 사례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교육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지역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문화가 축적되어 있다. 또한 현재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지역에는 인간 생활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역사적, 지리적 측면들이 통합적으로 표출되어 있다. 따라서 지역은 사회과 교육 내용의 통합적 접근을 할 수 있는 주요한 소재와 장면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역의 학습 자료를 접목한 지역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학생들은 지역 화 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현장학습을 통해 지역의 내용을 보다 흥미 있고 애정을 갖고 학습할 수 있다. 제주도에서도 지역 현장학습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특히, 제주 인들의 옛 생활모습을 알 수 있는 민속자료가 전시되어 있는 곳에서 할 수 있 는 현장학습을 연구한 것으로 교육박물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다. 제주도 민속자료를 전시한 대표적인 박물관인 제주교육박물관,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성읍민속마을, 제주민속촌박물관 중에서 제주교육박물관에 관한 현장학습 프로 그램 연구가 사회과에서는 유일했다. 이에 연구자는 제주민속촌박물관을 장소로 선정하여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개 발하였다. 제주민속촌박물관은 제주도의 어촌, 중산간촌, 산촌 마을을 반영한 민 속자료를 전시하고 있어 제주의 독특한 문화를 관람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민 속촌박물관에서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연구 과정에서는 우리 나라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교과서의 내용과 지역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지역의 소재를 비교하여 학생들이 지역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장학습 프로그램은 산촌코스, 중산간촌코스, 어촌코스, 어구전시관 및 농기 구전시관 코스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각 코스에서 제주인들 의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과 관련된 활동과 발문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지역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특히, 학생들로 하여금 제주에서 살았던 조 상들의 의식주의 모습을 제주민속촌박물관을 현장학습하고 우리나라의 일반적 인 문화를 담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 차이가 나타난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모습과 지역 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보다 지역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발된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의의와 학습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예상 되는 문제를 제시하여 후속 연구자들이 연구를 할 때나 교사들이 본 연구를 참 고로 하여 수업설계를 할 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교육
생산연도
2015
저자명
문은아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16
첨부파일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지역화 학습을 위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제주민속촌박물관을 사례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