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설화를 활용한 초등 국어과 통합 지도 방안 연구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교육



재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초등학교 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창의적 국어 능력 향상’이다. 이러한 국어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5차 국어과 교육과정 시행 후 언어 사용 기능 신장을 위해 교과서를 영역 별로 분책하여 가르쳐 왔으나 여러 문제점을 낳게 되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통합적인 국어교육에 강조점을 두어, 학습자가 언어 상황에서 실제 사용하게 되는 다양한 담화와 글의 종류와 수준을 정해 주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방법의 교수·학습 계획에서 통합 지도 관련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통합 지도를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언어의 통합적 성격을 살리고자 노력하나 현재의 분권화된 교과서 체재로 인해 수업상황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영역을 구별하고 있다. 아동문학을 중심으로 한 언어 지도의 경우, 학생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사용된 언어가 좀 더 높은 수준의 언어라고 볼 수 있으며, 통합적 활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황을 구성하기가 쉽다. 문학작품 중에서 우리 고장의 정서와 문화를 배울 수 있고,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언어 영역을 통합할 수 있는 소재인 제주설화를 활용하여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문학을 즐기는 평생 독자로 자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연구하고 실행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우선 국어교육에서의 통합의 이론적 배경을 살핀 후 통합 개념과 유형, 필요성과 지도방법을 밝혔다. 그런 후에 아동문학 중심의 통합의 필요성을 논의한 후 설화의 성격과 기능, 교육적 의의와 제주설화의 특징을 살피면서 국어과 통합 지도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아동문학중심의 통합 원리와 제주설화의 선정기준을 정한 후 3학년의 언어 기능 영역별 성취 기준을 분석하여 서로 연관성이 있어 통합 지도하는 것이 효율적인 성취기준을 추출한 후 제주설화를 중심으로 통합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하였다. 제Ⅳ장에서는 통합 단원을 적용한 후 사전, 사후 설문지 비교, 관련 학습지 분석, 면담일지 분석 등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영역 간 통합 활동을 실시한 후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을 바탕으로 설화 속 환경과 인물을 새롭게 설정하여 재구성한 자신과 친구들의 이야기에 흥미를 느끼며 학습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짤막한 서사문학인 설화의 구성이나 뒷이야기 꾸며 쓰기, 연꽃기법을 활용한 이야기 다시 쓰기 활동을 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이끌어 낼 수 있어서 창의력을 키울 수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교육
생산연도
2013
저자명
김경애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17
첨부파일
제주설화를 활용한 초등 국어과 통합 지도 방안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