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들의 제주4.3교육 인식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교육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 연구는 제주도 중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과 교사들이 제주4ㆍ3 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공교육 차원에서의 책임있는 교육적 논의를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설문지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추진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4ㆍ3을 교육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텍스트인 역사교과서를 분석ㆍ검토하여 제주4ㆍ3에 관한 인식론에 대해 문헌연구를 하였다. 통계적 접근으로서 설문지를 통하여 사회과 교사들의 제주4ㆍ3에 관한 관심도, 지역화 학습과 제주4ㆍ3 교육의 실태, 제주4ㆍ3과 학습자료의 활용, 제주4ㆍ3 교육의 필요성, 제주4ㆍ3의 교육적 접근 방법론 등 다섯 개의 영역을 구성하여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들이 제주4ㆍ3 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ㆍ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4ㆍ3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제주4ㆍ3사건진상조사보고서』가 작성되고 진상이 규명되었다. 그러나, 제주4ㆍ3 교과서 내용 서술 시각에서는 다양한 인식이나 평가가 나타나고 있다. 『제주4ㆍ3사건진상조사보고서』의 연구 경향을 교과서 서술에 최대한 반영하고 있는 교과서도 있지만, 제주4ㆍ3이 공산주의자들에 의한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무장 폭동론적' 인식이 아직도 강하게 작용하여 이 연속상에서 북한의 공산괴뢰 정권이 전쟁까지 일으킨 것으로 보는 교과서 서술도 발견되었다. 대한민국정부가 공식인정한 『제주4ㆍ3진상조사보고서』의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제주4ㆍ3의 역사적 진실을 보완하는 교육과정의 개선이 요청된다. 둘째, 제주4ㆍ3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8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제주4ㆍ3을 '민간인 학살사건', '항쟁'으로 바라보고 있어 제주4ㆍ3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제주 교육현장에서의 제주4ㆍ3 교육의 필요성에 관해서도 90% 이상의 교사들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공교육 차원에서의 책임 있는 교육적 논의와 효율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도교육청의 분위기의 성숙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제주4ㆍ3 교육자료집 『아픔을 딛고 선 제주』를 단위학교에서 학교 실정 및 학교급별로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ㆍ편집하여 적극 활용토록 하고 있으나 제주도교육청의 발간 의도에도 못미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제주4ㆍ3의 역사적 사실을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학생의 사고방식과 수준을 고려해 다양한 학습자료로 개발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넷째, 현재 지역화 학습에서 향토사 자료 활용과 제주4ㆍ3 학습 지도에 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교사도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제주4ㆍ3에 관한 교육은 소극적이고 저조한 실정이었다. 교육과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교육
생산연도
2007
저자명
현진호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14
첨부파일
제주도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들의 제주4.3교육 인식.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