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향토 이해를 위한 현장학습 코스의 개발: 제주시 서부 해안도로를 사례로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교육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현장학습은 사회 현상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는 역사·문화의 현장에서 실제적인 학습 활동을 통해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삶을 가깝게 경험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현장학습의 필요성이나 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동감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교육과정에 따른 현장학습을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공간적 범위를 현장학습을 위한 구간으로 설정한 후, 실제로는 학습 주제별, 학년별 또는 소지역별로 학습 대상을 근간으로 하여 활발한 현장학습이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지역 사회에 분포하는 학습 자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사회과에서 향토 이해를 위한 효율적인 학습 방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먼저 현장학습 코스를 개발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현장학습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현장학습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통해 현장학습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구체적인 코스 개발과 관련하여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고 현장학습 관련 요소를 추출하였다.이러한 단계를 거쳐 제주시 서부 해안도로에 있는 구체적인 학습 대상을 조사·선정하였다. 그리고 15개의 학습 대상과 사회 교과서의 학습 주제를 대비시켜 ①학년별 학습내용과 난이도 ②전체 학습시간 ③학습량 ④이동거리 ⑤체력과 효율성 등을 참고로 하였다. 현장학습의 코스화는 앞에 제시한 조건을 고려하여 학습 대상이 분포하는 장소를 연결시켜 지역별, 주제별, 학년별로 세분하였다. 개발한 학습 코스는 학습 주제나 학습 대상의 선택 여부 혹은 시간적 제약 등에 따라서 교사가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현장학습 코스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해안도로변을 몇 개의 소지역 단위로 구분하여 설정한 A형이다. A형에는 용담 3동, 도두 2동, 도두 1동 등 행정구역별로 분포하는 학습 대상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A-1형, A-2형, A-3형의 세 가지로 개발하였다. 둘째는 학습 대상의 성격과 기능을 바탕으로 하여 주제별로 구분·설정한 B형을 들 수 있다. B형에는 제주인의 신앙 생활을 토대로 설정한 B-1형, 통신 시설과 어로 시설을 주제로 설정한 B-2형, 제주의 지형 및 용천수를 주제로 설정한 B-3형으로 개발하였다. 셋째는 학습 대상과 학습 시간을 고려하여 3∼6학년의 학년별 학습 코스로 개발하였다. C형은 다시 다끄내 포구∼수근 연대로 이어지는 3학년 코스의 C-1형, 다끄내 포구∼수근 연대∼몰래물 마을 방사탑∼도두봉 북서쪽 사면 지형으로 이어지는 4학년 코스의 C-2형, 다끄내 포구∼어영 마을 연딧당∼몰래물마을방사탑∼흘캐∼도두봉 북서쪽 사면 지형으로 이어지는 5학년 코스의 C-3형, 끝으로 다끄내 해신당∼도두오름허릿당∼도두 1동 포제단으로 이어지는 6학년 코스의 C-4형으로 나눌 수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교육
생산연도
2003
저자명
오영희
소장처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조회
27
첨부파일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향토 이해를 위한 현장학습 코스의 개발 - 제주시 서부 해안도로를 사례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