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전략적 성과관리(BSC) 도입효과에 대한 연구

분야별정보 > 사회과학 > 행정 · 법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행정시 포함)의 부서를 대상으로 BSC도입 후 부서성과 향상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서에 형성되어 있는 조직문화와 리더십이 부서의 BSC 도입성과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부서특성이 BSC 도입성과에 조절작용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서 성과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성원들의 상호 신뢰, 참여 증대 등을 중시하는 관계지향 조직문화가 BSC 도입 성과에 유효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지향 조직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조직과의 일체감 형성을 통한 소속감 고취, 조직구성원에 대한 관심과 믿음을 기반으로 한 신뢰 형성, 조직 구성원들 간의 소통과 참여를 통한 상호 협력 관계 등을 구축하여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 등을 높이고 조직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부서의 변혁적 리더십은 BSC 도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중간관리자로서의 리더십이 부서 내에서 영향력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직적인 의사결정시스템 체계에서 벗어나 중간관리자에게 보다 많은 권한위임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리더의 역량을 발휘하고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집단 간 차이분석에서는 유효한 차이를 보여 변혁적 리더십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서는 리더를 대상으로 한 교육 기회 확대 등을 통해 부족한 리더십 역량을 배양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될 수 있도록 조직 내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구축 등 조직 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부서특성이 BSC 도입성과에 조절변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특별차지도의 성과지표 선정 시 부서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성과 측정을 위한 정량적 지표 선정 위주에서 벗어난 지표 선정 방법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내 BSC의 안정적인 정착과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는 환경 여건의 변화와 조직의 목표 등에 따라 부족한 부분을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여러 유형의 조직문화의 강점 등을 결합시켜 조직 특성에 맞게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이 BSC 도입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는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리더십에 대한 변화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BSC 평가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사회과학 > 행정 · 법
생산연도
2015
저자명
강문정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17
첨부파일
제주특별자치도의 전략적성과관리(BSC) 도입효과에 대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