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濟州道 舊左邑 榧子林의 生物相, 生長特性, 撫育强度에 따른 植生變化 및 保全方案에 關한 硏究

분야별정보 > 순수과학 > 식물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濟州道 舊左邑 榧子林의 生物相, 生長特性, 撫育强度에 따른 植生變化 및 保全方案에 關한 硏究尙志大學校 大學院林學科 林學專攻李 相 吉 國文抄錄천연기념물 제 374호인 제주도 구좌읍 평대리 산 15번지 소재의 비자림 지대에 대한 유전자원의 효율적인 보전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자림의 생물상, 비자나무의 생장특성 및 무육강도에 따른 식생변화 등을 10년간 조사하였으며, 주요 결과와 비자림의 보전방안은 다음과 같다.비자림의 임분 구성은 비자나무+활엽수 혼효림과 비자나무+해송+활엽수 혼효림의 2개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자림 지대에 분포하는 식물의 종류는 83과 187속 230종 23변종 4품종인 총 257종이며, 분포하는 관속식물 중에는 비자나무, 팽나무, 후박나무, 곰솔, 올벚나무 등의 교목성 수종과 상산, 남오미자, 송악, 담쟁이덩굴 등 관목 및 만경류와 초본류인 양하, 맥문동, 새우난, 십자고사리 등이다.비자림 지대의 총면적 44.8ha에는 비자나무 2,861본, 해송 1,259본, 활엽수 10,084본이 생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비자나무의 평균수령은 316년이고, 대부분 200~400년 사이에 집중 분포하고 있으며, 비자나무는 생장이 왕성한 활엽수에 의한 수관경쟁과 송악, 담쟁이, 칡 등 만경류에 의한 피압으로 수세 쇠약의 원인이 되고 있다.비자림 내의 곤충상은 총 8목 62과 208종이며, 이중 나비목이 29과 148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자나무의 병해충을 조사한 결과 피해 해충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병해로 근두암종병에 감염된 비자나무를 볼 수 있었다.구좌읍 비자림의 효율적인 보전을 위해서는 단기보전과 장기보전으로 구분하여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단기보전 방안으로는 수간상처 및 공동 발생목의 외과수술과 고사지 제거 및 절단 부위치료, 천연하종 갱신의 유도 및 발생치수 보호를 위한 생육환경개선, 만경류 제거, 수세 쇠약목에 대한 무기양료 공급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장기보전 방안으로는 비자나무와의 경쟁 활엽수 및 경합가지 제거와 4~5년 주기로 만경류 제거가 이루어져야하며, 천연하종 갱신에 의한 치수 발생지역은 매년 하층 식생을 정리하여 치수보호 및 발생을 유도하고, 국부적으로는 비자나무 수하식재를 위한 실생묘의 양성이 필요하다.특히 비자나무의 도복 및 가지 부러짐과 같은 기상적 피해와 탐방객에 의한 답압 등 인위적 피해에 대한 예방책을 포함한 비자림의 종합적관리 시스템을 수립하고 철저한 보호관리가 실행되어야할 것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순수과학 > 식물
생산연도
2009
저자명
이상길
소장처
상지대학교 학술정보원
조회
8
첨부파일
濟州道 舊左邑 榧子林의 生物相, 生長特性, 撫育强度에 따른 植生變化 및 保全方案에 關한 硏究.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