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자생식물의 규격묘 생산 및 생태 유형별 식재 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분야별정보 > 순수과학 > 식물



 자생식물의 규격묘 생산 및 적지 식재 적용사례 숙근초화류의 번식에서 파종시기는 대체로 춘파가 좋았으나 용머리는 추파가 더 좋았다. 분주번식은 촉수가 많을수록 생육과 분얼리 좋았다. 삽목번식은 5-6월, 삽수길이는 5-7cm, 포트크기는 9-12cm(3-4치), 육모기간은 3-6개월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근류의 번식에서 파종시기는 추파가 좋았고, 포트크기에 따른 묘소질은 큰 차이가 없었다. 섬말나리의 인편번식은 외측인편과 인편절편체의 크기가 큰 것이 자구형성에 좋았고, 용토는 vermiculite와 원예용상토가 좋았다. 제주수선화의 인공번식 방법은 chipping 이나 notching이 좋고 chiping 후 다시 부위별로 나누는 것은 좋지 않았다. 제주수선화의 자구형성에서 notching 시 저반부 절단 후 당일이 좋고, 용토의 종류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제주수선화의 인공번식에서 scooping이나 coring은 자구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목본류의 번식에서 파종시기는 추파가 좋았고, 삽목번식 시기에서 담쟁이는 3월, 히어리는 7-8월, 멀꿀은 6월이 가장 좋았고 자금우, 송악은 큰 관계가 없었다. 목본류의 삽목용토는 원예용상토가 대체로 좋았고 삽수길이는 큰 관계가 없었으나 히어리와 멀꿀은 3cm 이하는 발근이 되지 않았다. 상록수 및 낙엽활엽수, 도로분리대의 식재에서 상록수 아래는 털머위가 좋았으며 낙엽활엽수아래는 비비추, 섬초롱꽃이, 도로분리대는 원추리, 왜성술패랭이, 범부채, 감국, 매발톱꽃, 벌개미취, 섬기린초, 붓꽃, 용머리가 좋았다. 1㎡당식재본수는 30~60본이 적당하였다. 절개지, 보행섬 및 가로화단의 식재에서 절개지는 쑥부쟁이가 좋았고 보행섬은 원추리, 섬기린초, 범부채가, 공한지 및 가로화단은 왜성술패랭이, 범부채, 애기범부채가, 공간이 넓은 잔디밭위 화단은 용머리, 섬기린초가 좋았다. 털머위는 내한성이 문제되어 중부이북지방에서는 생육이 좋지 않았다. 1㎡당 식재 본수는 30~50본이 적당하였다. 습지 및 고수부지의 식재에서 습지는 부처꽃, 부들,창포, 줄, 수련, 노랑어리 연꽃이 좋았고, 고수부지는 꽃범의꼬리, 흰갈풀, 물억새가 대체로 좋았다. 지역에 따른 생육의 큰 차이는 없었으며 1㎡당 식재본수는 20~55본이 적당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자생식물의 대량생산과 규격묘 표준화 및 조경분야에서 자생식물의 이용을 극대화하여 농가소득은 물론 새로운 조경문화를 창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순수과학 > 식물
생산연도
2002
저자명
장형태
소장처
대한종묘원
조회
24
첨부파일
자생식물의 규격묘 생산 및 생태 유형별 식재 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