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한국산 산딸기속(장미과)의 분류학적 연구

분야별정보 > 순수과학 > 식물



한국산 산딸기속 분류군들에 대한 주요 형질 및 형질의 변이한계를 파악하고 형질의 진화경향성을 추론, 기존 분류체계의 타당성 검토 및 분류군들의 간의 유연관계를 규명하고자 형태학적 연구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형태학적 형질에서 식물체 습성, 줄기의 습성 및 유형, 줄기표면의 가시종류, 잎의 종류, 화서의 종류, 화경표면의 가시 종류 및 특성, 꽃받침 형태, 개화시 꽃받침과 꽃잎의 자세, 열매 색 등은 분류군을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이였다.

본 속의 분류군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nrDNA의 ITS, 구간과 cpDNA의 trnL-F 구간과 trnL-trnF(trnL-F)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산 산딸기속은 단계통을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속내 분류체계에 따른 4아속 5절과 각 분류군의 유연관계 및 진화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잎의 종류, 개화시 꽃잎의 자세, 꽃잎 색의 분류군별 나타나는 형질의 상이성을 통하여 진화경향성을 추론하였다. 거문딸기와 장딸기의 종간 잡종으로 인식되고 있는 제주산딸기는 장딸기보다 거문딸기와 더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하여 분류군의 실체가 모호한 단풍딸기, 가시복분자딸기, 거지딸기, 검은딸기, 줄딸기, 제주산딸기와 섬딸기, 멍석딸기, 복합체(R. ribisoideus, R. parvifolius complex)에 대해 원기재문 및 기준표본에 근거한 올바른 학명제시 및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런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한국산 산딸기속을 4아속 5절의 총 19분류군으로 정리하였고, 검색표 및 기재문을 제시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순수과학 > 식물
생산연도
2019
저자명
이로영
소장처
충북대학교 도서관
조회
35
첨부파일
한국산 산딸기속(장미과)의 분류학적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