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빗물 시설관리의 효율적 개선방안(정책이슈브리프 256호)

분야별정보 > 순수과학 > 환경




- 분산형 관리시스템 도입 등 효율적인 빗물관리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효율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도시 수해 규모와 빈도가 증가하면서 재해관리의 측면에서도 빗물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
자연생태계 보전과 수자원 확보 및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도시지역의 문제점은 강수의 대부분이
지표수(surface-runoff)가 되어 홍수와 하천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임
- 일반적으로 자연생태계가 잘 형성·보전되는 산림지역의 경우, 빗물의 42%가 지하로 침투하고,
지표수는 12%에 불과함
- 반면, 자연생태계가 거의 없는 도시지역의 경우, 빗물의 7%만 지하로 침투되고, 그 중 81%가 지표를통해 하천에 직접 유입되기 때문에 하천 범람 원인이 되고 있음
제주지역의 도시·택지개발 시 빗물관리는 하천으로 유입하는 배수계획을 수립하여 처리하고 있음
- 일부 비닐하우스 시설에서 농업용으로 빗물을 일부 이용하고 있으나 대부분 우수배제 시설 등을
통해 하천으로 유입시켜 바다로 흘려 보내는 존재로만 인식되어 왔음
- 또한, 제주도에서 빗물이용시설 보조금 지원 사업으로 비닐하우스에 내린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시설에 지원하고 있음
- 그러나 기후변화 등을 고려할 경우, 도시지역에 내리는 빗물에 대한 대책의 핵심은‘ 빗물이용’이
아닌‘ 빗물관리’라고 사료됨

- 특히, 제주도는 타 시도와 달리 투수성이 매우 양호한 지질구조를 가지고 있어 지하침투가 분산형관리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 따라서 효과적인 빗물관리를 위해서는 빗물의 지하침투 비율을 높이기 위한 기반시설을 구축하는것이 우선 필요함. 만일, 빗물관리 기반시설 구축이 곤란하거나 충분하지 못할 경우 빗물저장시설또는 연못 등을 통한 빗물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음
물 부족 시대에 있어서 빗물은 개인적 차원이 아닌 사회적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관리되어야 함.
또 하나의 수자원이라는 빗물의 가치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함
- 즉, 빗물을 이용하기 위한 정책에서 관리를 위한 정책으로서 자연스런 물 순환을 유도하는 분산형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비닐하우스에 한정된 빗물이용시설 지원 제도를 개선하여 빗물이용을 확대함과 아울러
분산형 관리시스템 도입 등 효율적인 빗물관리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효율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유형
정기간행물
학문분야
순수과학 > 환경
생산연도
2016
저자명
박원배
소장처
제주연구원
조회
23
첨부파일
정책이슈브리프256호.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