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연안환경에 미치는 환경영향 및 온실가스감축을 위한 그린에너지 발전방향

분야별정보 > 순수과학 > 환경



 

목차

제1장 서론 10

제2장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환경 변화와 대응방안 15

2.1.2.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환경 변화 20

2.2. 하천, 하구 및 연안인근의 국가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연안환경변화 25

2.2.1. 우리나라 산업단지 간척 및 매립에 따른 환경변화 26

2.2.2. 연안 공간개발에 따른 연안환경변화 예측 및 평가 34

2.3. 연안환경변화 대응기술의 국내외 현황 및 개선방향 50

2.3.1. 연안환경변화 대응기술의 국내외 현황 50

2.3.2. 연안공간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사전 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 59

제3장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청정그린 에너지개발에 따른 환경영향 65

3.1. 서론 66

3.2. 신ㆍ재생에너지 개발의 국내ㆍ외 현황 70

3.3. 신ㆍ재생에너지의 전망 82

3.4. 신ㆍ재생에너지의 개발로 인한 환경영향 및 문제점 86

3.5. 지속가능한 신ㆍ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개선방향 110

3.6. 신ㆍ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개선방안 124

제4장 결언 133

 

 

〈표 3.15〉 우리나라 풍력발전기 사고 및 정지현황 91

〈그림 2.2〉 전지구 탄소순환 관측지표(IPCC, 2013) 18

〈그림 2.3〉 CO₂ 배출량(GtC)에 따른 전 지구 평균기온 상승(IPCC, 2013) 19

〈그림 2.4〉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변화예상 (한국일보, 2013) 21

〈그림 2.5〉 2100년 해안침수 가능지역(KEI, 2015) 22

〈그림 2.6〉 제주도 용머리해안(좌 : 1987년, 우 : 2014년) 23

〈그림 2.7〉 우리나라에 발생한 태풍 강도의 변화(시사투데이, 2013) 24

〈그림 2.8〉 우리나라 산업단지 현황(한국산업단지공단) 27

〈그림 2.9〉 우리나라 국가어항(해양수산부) 28

〈그림 2.15〉 마산만 지역의 대규모 매립에 따른 조류변화율(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5) 40

〈그림 2.16〉 제주외항 주변 유속변화(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5) 41

〈그림 2.17〉 해안침식의 원인(김 등, 2001) 43

〈그림 2.21〉 해빈면적 변화 분석결과(삼척생산기지 해안선변화 모니터링 보고서, 2014) 45

〈그림 2.22〉 항공사진 분석을 통한 후정해수욕장 해안선 변화분석(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47

〈그림 3.1〉 세계 신ㆍ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및 생산량 현황 (IEA, 2014) 67

〈그림 3.2〉 2012년 국내 신ㆍ재생에너지 원별 생산량 비중 (자료 : 에너지관리공단 신ㆍ재생에너지센터, 『2012년 신ㆍ재생에너지 보급통계』, 2013. 12.) 71

〈그림 3.3〉 2012년 국내 신ㆍ재생에너지 발전량 (자료 : 에너지관리공단 신ㆍ재생에너지센터, 『2012년 신ㆍ재생에너지 보급통계』, 2013. 12) 71

〈그림 3.4〉 지역별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증설 (신정책 시나리오) (자료: IEA, World Energy Outlook, 2013) 83

〈그림 3.5〉 풍력 발전기 설치장면 88

〈그림 3.6〉 풍력발전기로 인한 백두대간 경관 훼손 88

〈그림 3.7〉 거제 풍력발전단지 조감도 89

〈그림 3.8〉 국내 풍력발전기 제조사별 설치 용량 90

〈그림 3.9〉 불에 타고 있는 풍력 발전기(제주시 구좌읍 행원리) 92

〈그림 3.10〉 강풍에 휘어버린 날개(영양군 석보면 풍력발전단지) 92

〈그림 3.11〉 태양광설치로 인한 마을 경관 훼손 94

〈그림 3.12〉 태양광 일체형 건물 94

〈그림 3.13〉 태양광 설치로 인한 산림훼손 95

〈그림 3.14〉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하여 파괴된 산림 98

〈그림 3.15〉 바이오에너지와 숲의 이산화탄소 감축량 99

〈그림 3.18〉 삼성중공업이 제주도 해상에 추진 중인 7 MW 해상 풍력 발전단지 112

〈그림 3.19〉 대규모 해상 풍력 단지 113

〈그림 3.20〉 수직형 풍력발전기와 도심의 수직형 풍력발전기 115

〈그림 3.21〉 해상 풍력 발전기 117

〈그림 3.22〉 옥계 포스코 페놀 유출 상황 121

〈그림 3.23〉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범위 및 차수막의 위치 (출처: 환경운동연합 강릉 추진위원회) 122

〈그림 3.24〉 페놀이 유출된 강릉 옥계 지역과 페놀유출로 인한 조개 폐사 123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순수과학 > 환경
생산연도
2015
저자명
국회환경노동위원회
소장처
국회환경노동위원회
조회
71
첨부파일
기후변화가_연안환경에_미치는_환경영향_및_온실가스감축을_위한_그린에너지_발전방향.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