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궷물오름 백중제를 지내는 제단

분야별정보 > 순수과학 > 환경



백중제

해마다 음력 7월 14일이 되면제주도의 여러 마을에서는 온 마을 사람들이 모여 백중제라는 농사를 위한 제사를 지냈었다이 백중제라는 제사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옛날 차귀뱅뒤에는 백중이라는 목동이 살았다하루는 그가 바닷가에서 마소 먹이를 먹이고 있는데 하늘에서 옥황상제가 내려왔다웬일인가 싶어 가만히 보고 있자 옥황상제는 바다를 향하여 거북아!”하고 부를는 것이었다그 후 아주 큰 거북이가 바다 위로 떠올랐고백중은 한층 호기심이 생겨 가까이에서 숨어 엿듣기로 하엿다. “거북아오늘밤에 석 자 다섯 치의 비를 내리게 하고 폭우대작하게 하라.” 이 말을 남기고 옥황상제는 하늘 위로 올라갔다백중이 곰곰이 생각하여 보니 큰일인 것이다석자 다섯치의 비와 폭풍이 내리치면 홍수가 날 것은 물론이고가축과 곡식이 성할리 없을 것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그는 언덕에 급히 올라가 옥황상제의 목소리를 흉내 내 거북을 불러냈다. “아까는 깜빡 잊어서 말을 잘못했다비는 다섯치만 내리게 하고 바람은 불지 않게 하라.” 거북은 알았다는 듯이 물속으로 사라졌다그 날 저녁에 비는 백중의 말대로 내리고 바람은 불지 않았다한편 옥황상제가 하늘에서 굽어보니 자신의 명대로 되지 않은 것이다이에 크게 노한 옥황상제는 차사에게 백중을 잡아들이도록 하였다.

백중은 이러한 벌을 예기치 못했던 바가 아니라 옥황상제의 벌을 받느니 스스로 죽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여 바다에 몸을 던져 목숨을 끊고 말았다이러한 백중의 지혜와 용기 때문에 그 해는 대풍작이었다농민들은 한결같이 백중의 은혜를 감사히 여겨 해마다 그가 죽은 날이면 제사를 지내어 그의 혼을 위로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이날(백중이 죽은 7월 14)은 백중날이라 하여 물맞이와 해수욕을 하는 풍속이 있는데이날에 물맞이나 해수욕을 하면 만병에 약이 된다는 말이 제주에서 지금까지도 전해지고 있고또 이날에 마늘 따위를 심으면 잘 되어서 백 가지에 벌어진다고 한다이와 같이 백중제는 한 목동인 백중의 혼을 위로하기로 한데서 비롯된 것이었지만오늘날 이 고장에서는 풍년을 기원하는 농민의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제사가 되었다.

-제주목축문화 발췌

 

백중제는 음력 7월 15일(백중날)에 목축지(공동목장 등)에서 지냈던 고사로, ‘테우리 코시’, ‘모쉬멩질’, ‘테우리 멩질’ 등으로도 부르며, 우마의 번식과 질병에 걸리지 않기를 기원하는 목축의례이다. 애월읍 장전리에서는 마을공동목장조합이 주체가 되어 음력 7월 15일 오전 10시에 3명의 헌관(초헌관, 아헌관, 종헌관)과 2명의 집사에 의해 궷물 옆에 마련된 제단에서 유교식으로 백중제가 이루어졌다.

유형
사진
학문분야
순수과학 > 환경
생산연도
2020
저자명
제주학연구센터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53
첨부파일
IMG_5416.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