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해양환경 변동에 따르는 생물자원 변동과정과 생태계 모델링 연구

분야별정보 > 순수과학 > 해양



본 연구과제의 제 1단계 연구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난 3년간의 연구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해양-대기 시스템 변동: * Weather Generator (MM5)를 이용하여 한반도 해역의 장기간 (30년) 기상자료를 생산하였으며, 이를 지역별로 관측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음. * 적도에서 발생한 변동성이 중위도 태평양 상층 대기를 통하여 전달되며, 변동성이 대기의 상층에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시간지연은 1개월 이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음. * 계절별 분석 결과 대기-해양간의 변동성은 여름철과 가을철에 비해, 겨울철과 봄철에 두드러지며, 해수면 온도장과 바람장과는 반대의 위상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음. * 1970년~77년, 78~88년 88년 이후의 세 시대별 분석 결과에서, 북태평양에서 나타나는 climatic- shifting 현상과 유사한 패턴의 변동이 동해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음. (2) 생물자원(오징어 자원)의 가입기작: *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수행되어, 우점종인 요각류가 제주도 서남방 해역에서 높은 풍도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음. * 오징어 주 먹이생물은 어류인데, 오징어가 성장하면서 동종섭이현상이 강화되었음. * 오징어 암컷의 생식주기는 미숙기(3-5월), 성장기(6-7월), 성숙기(7-8월), 완숙 및 산란기 (10월-2월)로 나눌 수 있었으며, 7월부터 1월 사이에 여러 번 산란하는 것으로 생각됨. * 오징어 유생은 제주도 동남방 해역에서 주로 출현하였으며, 대마난류를 따라 동해로 이동됨. (3) 생태계 모델링 및 자원관리: * 1998/99 기후체제전환으로 대부분 생물군의 생체량이 감소하였고, 영양단계 III에 속하는 대부분 생물군의 상대적인 기여도가 감소하였음. * 동중국해에 서식하는 주요 어종의 분포의 변화가 있었으며, 삼치 어획량은 증가경향을 나타냈으나, 강달이, 가자미, 젓새우는 감소한 경향을 보이고 있고, 오징어는 여전히 높은 수준 으로 별다른 변화가 없었음.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순수과학 > 해양
생산연도
2010
저자명
부경대학교
소장처
부경대학교
조회
17
첨부파일
해양환경 변동에 따르는 생물자원 변동과정과 생태계 모델링 연구.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