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화산활동에서 제4기퇴적층의 지질학적 해석 예비 연구

분야별정보 > 순수과학 > 지질



목차

제1장 연구과제의 개요 14

제2절 연구 방법 및 조사 범위 16

1. 제4기 퇴적층의 연대분석 (C14 , OSL, Be10)(이미지참조) 16

2. 제4기 퇴적층의 고환경 분석 (입도, 대자율, 동위원소, 지화학) 21

3. 제4기 퇴적층 조사 대상 및 범위 22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23

제3장 연구 내용 및 결과 26

제1절 제주 제4기퇴적층 분포 및 퇴적상 26

1. 거문덕이 퇴적층 26

2. 교래리 퇴적층 1 지점 (물장올교 퇴적층) 27

3. 교래리 퇴적층 2 지점 (교래교 퇴적층) 29

4. 고산층 및 수월봉 퇴적층 31

5. 상창리 퇴적층 32

6. 기타 지역 퇴적층의 분포현황 37

제2절 제주 제4기퇴적층의 형성시기 및 고환경 기록 45

제4장 제주도 제4기퇴적층의 지질학적 해석 107

1. 지난 약 2만년 간의 전 지구적 기후변화 107

2. 마지막 최대 빙하기(Last Glacial Maximum; 약 23,000~18,000년전) 109

3. 마지막 해빙기(Last Deglaciation; 약 18,000~11,000년전) 112

3. 현 간빙기(Current Intergalcial Period; 약 11,000년전~현재) 114

4. 제주도 제4기퇴적층의 휴지기 고환경 변화 116

제5장 연구 결과의 활용계획 122

제6장 참고문헌 123

제6장 부록 134

〈그림 6〉 제주도 제4기퇴적층 분포 조사 및 확인 지역 22

〈그림 7〉 거문덕이 퇴적층 조사지점의 위치 26

〈그림 8〉 교래리 퇴적층 1 지점 (물장올교 퇴적층)의 위치 27

〈그림 12〉 당산봉 및 수월봉 하부의 고산층의 분포위치 31

〈그림 13〉 상창리 퇴적층의 분포위치 33

〈그림 16〉 현무암류 사이에서 확인되는 상창리 퇴적층 전경 35

〈그림 17〉 세창산업 채석장 진입로에 위치한 상창리 퇴적층 노두 전경 36

〈그림 18〉 굴전동역암층의 분포위치 37

〈그림 20〉 입석동역암층의 분포위치 39

〈그림 22〉 성천포역암층의 분포위치 40

〈그림 24〉 법호촌역암층 1 지점 지역의 분포위치 42

〈그림 28〉 거문덕이 퇴적층의 신규 조사 당시의 전경 및 예비분석결과 45

〈그림 39〉 교래리(물장올교) 퇴적층 야외 전경 54

〈그림 68〉 당산봉 응회암층 인접지역에서 관찰되는 고산층 전경 79

〈그림 74〉 수월봉 응회암층 하부의 고산층 분포 현황 82

〈그림 85〉 굴전동역암(동수교) (Qks) 시료채취 현황 94

〈그림 87〉 입석동역암층의 전경 96

〈그림 88〉 입석동역암층 상류에서 새로 발견된 선돌교 퇴적층 97

〈그림 89〉 선돌교 퇴적층의 방사성탄소연대 분석결과 98

〈그림 90〉 성천포역암층의 시료채취 현황 및 방사성탄소연대 분석결과 99

〈그림 91〉 법호촌역암층의 시료채취 위치 및 방사성탄소연대 분석결과 100

〈그림 94〉 송산동 역암층 전경 및 방사성탄소연대 분석결과 102

〈그림 95〉 서건도 퇴적층 시료채취 현황 및 방사성탄소연대 분석결과 103

〈그림 96〉 방선문 계곡 상부 퇴적층 분포 전경 및 방사성탄소연대 분석결과 104

〈그림 99〉 전 지구적 기후 변화 110

〈그림 100〉 마지막 해빙기 동안의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농도의 기록 112

〈그림 105〉 교래교(물장올교) 퇴적층의 형성시기 검토 결과 120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순수과학 > 지질
생산연도
2014
저자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소장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조회
79
첨부파일
제주도_화산활동에서_제4기퇴적층의_지질학적_해석_예비_연구.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