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제4기 미고결 퇴적층 연구 중장기 계획 수립

분야별정보 > 순수과학 > 지질



목차

 

1. 제주 관련 국내외 연구 논문 현황 18

 

2. 제주 화산 지질 관련 국내외 연구 현황 34

 

3. 제주도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 37

 

제2절 화산 지질학적 조사 기술 68

 

1. 화산체 지표 조사 및 제4기 퇴적층 조사 기술 68

 

2. 지표지질정보 및 지하정보 통합기술 73

 

제3절 시료확보 기술의 적용성 검토 75

 

제4절 연대측정 기술 및 적용성 검토 88

 

제5절 고환경 분석 및 해석기술 적용 검토 102

 

1. 제4기 퇴적층 시료의 고환경 분석 방법 102

 

2. 제주 제4기 퇴적층 형성시기의 고환경 변화 103

 

3. 제주 제4기 퇴적층 시료의 고환경 분석 사례 113

 

 

〈그림 1〉 제주도 주요 연구현황 및 문제검토 내용 및 방법 18

 

〈그림 2〉 제주도 관련 연구논문의 연도별 논문편수 20

 

〈그림 3〉 10년 단위의 제주도 연구논문 편수 21

 

〈그림 4〉 학회지별 제주도 관련 연구논문 편수 22

 

 

 

〈그림 15〉 6개 관측지점에 대한 10년 평균기온의 변화추세(1912-2008) 38

 

〈그림 16〉 14개 관측지점에 대한 연간 강수일수 및 호우일수의 변화추세(1954-2008년) 39

 

〈그림 17〉 6개 관측지점에 대한 10년 평균강수량의 변화추세(1912-2008년) 39

 

〈그림 18〉 한반도 지역의 20세기말(1971-2000년) 대비 기온(℃) 및 강수량(%)의 변화 40

 

〈그림 21〉 제주 문화 유적 관리 지역기후변화 영향

 

〈그림 25〉 제주지역 천연기념물 기온서리일수(Frost days; FD0) 변화추이 47

 

〈그림 26〉 제주 문화 유적 관리 지역 기후변화 영향 기온여름일수 (Summer days;... 48

 

〈그림 27〉 천연기념물 문화재 기온여름일수(Summer days; SU25) 변화추이 49

 

〈그림 28〉 제주 문화 유적 관리 지역 기후변화 영향 기온폭염일... 50

 

〈그림 29〉 천연기념물 문화재 기온폭염일수(Summer days; SU33) 변화추이 50

 

〈그림 30〉 제주 문화 유적 관리 지역 기후변화 영향 기온결빙일수(Ice... 52

 

〈그림 31〉 천연기념물 문화재 기온결빙일수(Ice days; ID0) 변화추이 52

 

〈그림 32〉 제주 문화 유적 관리 지역 기후변화 영향 기온열대야... 54

 

〈그림 33〉 천연기념물 문화재 기온열대야(Tropical nights; TR25)변화추이 54

 

〈그림 34〉 제주 문화 유적 관리 지역 기후변화 영향 기온식물성장기간... 56

 

〈그림 35〉 천연기념물 문화재 입지 기온식물성장기간(Growing... 57

 

〈그림 38〉 제주도에 분포하는 다양한 지질요소 64

 

〈그림 39〉 제주도 지표에 나타나는 암석의 연대분포 64

 

〈그림 41〉 직간접 측정 방식을 활용한 소형화산체 형성시기 분석 방법 68

 

〈그림 42〉 화산암류 협재 미고결 퇴적층을 이용한 형성시기 분석방법 69

 

〈그림 43〉 소형화산체를 포함하는 화산암류 층서 규명 방법 69

 

〈그림 49〉 지표지질조사 및 시추조사 통합 3차원 모델링 과정 요약 73

 

〈그림 50〉 시추정보와 모델링 정보 활용 예시 73

 

〈그림 51〉 도심지역 3차원 통합 모델의 지하 공간 활용 예시 74

 

〈그림 52〉 제주 한라산 백록담 지역 전경 75

 

〈그림 56〉 한라산 사라오름 습지 퇴적층 시료의 핸드오거 시료 채취 전경 78

 

〈그림 59〉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일대에 위치한 부대오름의 핸드오거 시추 적용검... 80

 

〈그림 63〉 제주 물장올 습지 시료 채취 검토 지역(개략) 83

 

〈그림 66〉 사라오름 습지 시료 채취 지역 85

 

〈그림 69〉 제주 하논 습지 퇴적층의 시추기기 활용성 검토 87

 

〈그림 71〉 제주시 외도동 퇴적층 조사지역 위치 90

 

〈그림 76〉 제주 내도동 퇴적층 조사지역 및 분포범위 94

 

〈그림 79〉 제주도 미고결 퇴적층 형성시기 연구 보고 사례 96

 

〈그림 80〉 제주 입석동 역암층 노두 단면 97

 

〈그림 81〉 제주도 입석동 역암층 주변 화산암류와 협재된 미고결퇴적층 97

 

〈그림 86〉 방애오름 3차원 전경 100

 

〈그림 89〉 전 지구적 해수면 변화 및 모델 예측결과 비교 107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순수과학 > 지질
생산연도
2016
저자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소장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조회
59
첨부파일
제주도_제4기_미고결_퇴적층_연구_중장기_계획_수립.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