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농촌 주거공간의 생활문화적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의,식,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본 연구는 제주지역 농촌 주거공간의 분석을 통하여 생활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근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생활문화적 특성의 지속과 변화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에 위치한 주민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변화되고 있는 8개 마을 72개 주거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조사방법은 대상 주거를 직접 방문하여 실측조사, 관찰조사, 면담조사의 현장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대상 농촌마을에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농촌주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건축시기, 구조 및 재료, 실 구성 등 시 계열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재래형 농촌주거, 개량형 농촌주거, 현대형 농촌주거로 분류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류를 토대로 실시된 제주지역 농촌주거공간의 생활문화 특성은 좌식지향의 개방적 공간구성, 접객·의례중심의 공간구성, 세대분리 가족중심의 공간구성으로 나타났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좌식지향의 개방적 공간구성은 다습한 해양성기후를 견디기 위한 구조와 한정된 공간에 융통성을 부여하기 위한 메카니즘으로 마루와 각 실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주생활은 계절적인 변화와 함께 안방과 마루가 주로 사용되는 안방 중심의 좌식 생활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접객·의례중심의 공간구성은 경조사 시의 공간사용을 대비한 생활의식의 반영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일상의 공간사용보다 큰 규모의 공간을 확보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의례공간으로서 작은방 중 하나를 제사방으로 사용하고 미서기문을 설치하여 융통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다용도실을 배치하여 일상의 사용 뿐 아니라 경조사 시 조리나 가사용품의 보관하고 있었다. 셋째, 세대분리 가족중심의 공간구성은 한 울타리 안에 자식세대가 분가할 경우 세대간 공간 분리와 주생활 분리의 생활양식이 나타났다. 안거리, 밖거리의 세대간 거주형태는 부모세대와 자식세대의 가족 수에 따라 거주위치가 결정되고 있다. 세대간 공간사용은 일상생활에서는 별개의 생활이 이루어지지만 접객과 제사 등 경조사 시에서는 주공간이 공유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음으로 제주지역 농촌주거공간은 근대화에 따른 건축구조, 재료, 설비의 영향으로 급격한 변화의 경향을 나타내지만 생활문화적 특성의 지속과 변화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전통성, 실용성, 독립성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성측면에서 농촌주거공간은 제주도의 지형이나 바람 등 환경적 특성에 의해 주동의 좌향이 지역별로 일정한 패턴이 지속되고 배치는 별동형의 전통적 공간구성이 유지되고 마당공간을 확보하려는 의식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의,식,주
생산연도
2002
저자명
최재관
소장처
중앙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26
첨부파일
제주지역 농촌주거공간의 생활문화적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